이들 단체들은 3일 오후 2시 이천시청 회의실에서 특전사 이전 반대 기자회견을 갖고 14개 읍면동 이장단 379명과 새마을협의회 758명, 주민자치위원 343명 등 1천478명이 집단 사퇴하고 군부대 이천이전 반대 내용을 담은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그동안 우리는 한사람 한사람의 작은 봉사가 우리고장을 발전시키고 나아가 우리의 조국 대한민국을 발전시킬 것이라는 소박한 믿음 하나로 봉사의 한 길을 걸어왔지만 우리가 믿고 의지해야할 조국이 우리를 버렸다. (국방부가 군부대 이전을 발표한) 4월11일은 대한민국이 20만 이천시민들을 헌신짝 버리듯 내버린 날”이라며 “심장이 멎고 창자가 애이는 고통을 감내하며 우리의 모든 직책을 사임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정당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한 사업을 밀어붙이려고 기껏 생각해낸 비열한 결론이 국가기밀 운운”이라며 “이는 군대라는 말만 들이대면 촌동네 무지렁이들이 머리를 조아리고 한마디도 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해서 짜낸 졸렬한 결론”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국가기밀 운운하며 이천시와 협의 한 번 하지 않은 처사는 민주정부라 자처하는 참여정부가 얼마나 허구인가를 여실히 증명하고 있는 것”이라며 “4일 김재현 토지공사 사장이 직접 군부대이전 발표 경위를 해명하고, 이천시민들에게 사과할 것을 공직적으로 요구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천시 군부대 이전반대 비상대책위는 4일 성남시 분당구 한국토지공사 본사 앞에서 주민 2천5백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군부대 이전반대 범시민 규탄대회를 가질 예정이다.
“더이상 국가 수당 받을이유 없다” 이·통장聯 오광석 회장
- 집단 사퇴서를 제출한 이유는.
4일 진행되는 한국토지공사 본사 앞 집회를 준비하던 중 현재의 상태로는 더 이상 이장단과 새마을협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해 전원사퇴를 결심했다. 믿고 의지해야할 국가가 우리를 버렸다. 이장단은 국가에서 수당이 나온다. 더 이상 국가에서 나오는 수당을 받을 이유가 없다고 판단했다.
- 사퇴에 따른 각 읍면동의 행정공백에 대해서는.
행정공백을 염두해 두고 사퇴를 결심한 건 아니다. 그동안 우리는 이천시를 위해, 나아가 우리나라를 위해 봉사한다는 생각으로 작은 일이지만 각 마을에서 열심히 일해 왔다.
해당 주민은 커녕 이천시 자체와도 아무런 협의 없이 이뤄진 이번 사태로 생긴 이천시의 행정공백과 시민들의 피해에 비한다면 사퇴로 인한 행정공백은 비교대상이 아니라 생각한다.
- 앞으로의 계획은.
비대위에 적극 동참해 군부대 이전 철회가 이뤄질 때까지 끝까지 싸워나가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