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주민지원사업비 중 일반지원비 30%를 광역사업에 쓰려했던 계획을 철회했다.
26일 시와 주민들에 따르면 시는 일반지원비 30%를 여러 읍·면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대규모 사업에 충당한다는 계획으로 시의회의 동의 절차를 밟으려다 주민 반대로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다.
그동안 관내 일부 지역 주민들은 시가 읍·면에서 자체적으로 활용하던 일반지원비를 시 주도로 광역화 사업에 활용할 경우 집회는 물론 시가 주관하는 행사에 불참하는 등 강력하게 대응하겠다며 반발해 왔다.
또 시의회도 주민들에게 사전 설명 및 동의를 구하지 않은 채 일반지원비를 광역화 사업에 쓰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며 집행부에 재고를 요청해<본보 8월 24일자 3면> 왔다.
이처럼 주민과 시의회에서 반대 여론이 모아지자 시는 “일반지원비의 광역화 사업이 타당성은 있지만 주민들의 반대가 큰 만큼 일단 원점에서 다시 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는 당초 10억원 이상 투융자심사가 완료 된 사업들 중 어린이도서관, 실버타운, 읍·면단위 복합체육공원, 농산물 유통센터, 친환경 농업단지 조성 등 광역화 사업을 벌여 주민 다중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계획했었다.
또, 양평군 등 일반지원비의 광역사업화 투입에 성공 한 자치단체들을 벤치마킹하는 등 적극적인 계획을 수립해 왔다.
하지만 일반지원비의 광역사업화에 대해 주민들을 설득하고 동의를 구하는 절차가 생략된 것이 시의 발목을 잡았다.
시는 주민지원 사업 규모가 큰 남종과 퇴촌, 중부면 등 3개 지역만을 광역화 사업에서 제외 할 것인지 아니면 시 관내 10개 읍·면·동 모두를 제외 할 것인지에 대한 숙고에 들어갔다.
한편, 시는 지난 2006년에 당시 정흥재 시장권한대행이 주민지원사업비 중 70%에 해당하는 123억여원을 광역화 사업에 활용 할 계획을 추진했지만 주민 반대로 성사시키지 못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