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K 관련 증인 채택을 두고 설전을 벌였던 국회 정무위는 18일 오후 속개했지만 한나라당 의원들의 불참에 따라 결국 ‘반쪽 국감’이 되고 말았다.
한나라당 소속 의원들은 오전 정무위 전체회의를 마친 뒤 가진 자체 긴급회의에서 증인 재조정과 박병석 정무위원장에 대한 사과 촉구가 받아들여질 때까지 회의에 불참키로 결정했다.
한나라당 간사인 이계경 의원은 “대통합민주신당이 BBK와 관련해 일방적으로 채택한 증인을 전면 무효화하고 폭력 사태를 부른 박 위원장의 납득할 만한 사과가 있어야 한다”면서 “두 가지 요구 조건이 받아들여 질 때까지 회의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차명진(부천 소사)의원도 “신당이 정동영 후보 친인척의 주가조작과 관련 의혹을 풀기 위해 한나라당이 신청한 증인을 왜 슬그머니 뺐는지 설명을 해야 한다”며 “합의에 의한 처리를 무시한 일방적 폭거로서 국회에 대한 신종 독재”라고 강력 비난했다.
하지만 신당 측은 “BBK는 국민적 피해를 초래해 당연히 국감의 대상”이라며 한나라당의 요구를 거부, 오후 국감은 결국 신당 의원만 참석한 가운데 국민고충처리위원회와 국가비상기획위원회, 국가청소년위원회, 한국청소년수련원 등 4개 기관을 상대로 진행됐다.
한나라당 의원이 불참한 가운데 열린 회의에서 이 후보의 서울시장 재임시절 주택정책에 대한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앞서 전날 물리적 충돌 끝에 자정을 넘겨 자동 유회되는 등 파행을 겪은 정무위는 이날 오전 가까스로 개의했으나 BBK 증인 채택 전면 무효화를 주장하는 한나라당 측과 이를 거부한 신당 측이 맞서 지루한 공방만 오갔다
이 과정에서 이날 업무보고 등을 위해 오전부터 출석한 국민고충처리위원회 관계 기관 공무원 등 50여명은 자신들의 업무와 무관한 정치권 공방을 지켜봐야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