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의 안정성과 주식의 높은 수익률을 동시에 겸비한 채권도 존재한다.
이러한 주식관련 채권에는 전환사채(CB)나 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이 있다.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채권 만기시 일정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주식전환을 통해 추가로 차익을 얻을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는 권리를 행사할 경우 발행회사 주식수가 증가하고 주주가 된다는 매력이 있다. 또한 채권 발행이자율이 보통 사채에 비해 금리가 낮다.
채권 소유자가 주식으로 전환하거나 신주인수권리를 행사하면 그 회사의 자본이 증가돼 재무구조가 개선되는 장점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전환사채는 주식으로 전환시 채권의 성격은 사라지고 완전 주식으로 바꿔 확정금리 이자를 받을 수 없고, 신주인수권부사채는 만기 때까지는 채권이 소멸되지 않아 이자가 계속 생기고 신주인수권 행사로 얻은 주식으로는 매매 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로 차이가 있다.
전환사채의 경우 투자에 앞서 전환사채 발행회사의 채무상환 능력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또 주식처럼 전환사채도 장내에서 매도가 가능하지만 장내에서 매도할 경우는 거래량이 적어 제값을 받고 팔기 어려운 경우가 있기 때문에 성장 가능성이 높고 안정적인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안전하면서도 접근이 용이해 개미 투자자들이 많은 관심을 보이는 종목 중의 하나다.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주가가 정해진 가격 이하로 떨어져 신주인수권 행사가 무의미해질 때는 신주인수 권리를 포기하고 신주인수권부채권만 만기까지 보유하는 것이 유리하다.
반대로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할 경우는 신주인수권을 행사해 신주를 받은 뒤 매매차익을 노리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