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초등생 살인사건과 최근 강화모녀살인사건 등 잔혹한 범행이 잇달아 발생하고 수법과 추가 범행이 속속히 드러나면서 연쇄살인범에 대한 ‘사형제 존치’ 논란이 또다시 붉어지고 있다.
특히 시민들은 연쇄살인을 범한 흉악범들에 대해 엄중히 처벌해 유사사건 재발을 방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한편, 시민단체들은 범죄자의 인권을 고려해 사형은 반대하되, 강력범죄 사건이 발생치 않도록 사회적 제도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시민 이모(54·여) 씨는 “동일 사건 재발방지 차원에서 사형제도는 필요하다고 본다”며 “이번 강화모녀살인사건을 봐도 흉악범은 이복동생을 살해하고도 뻔뻔하게 살아가고 있다. 이런 범죄자들은 살려두면 안된다”고 말했다.
시민 윤모(32·여) 씨도 “지난 안양초등생 살인사건이나 이번 강화모녀 살인사건을 봐도 알듯이, 사람을 한번 죽인 사람이 또 사람을 죽이는 등 연쇄살인행위를 저지르고 있다”며 “이런 강력범들은 엄중히 처벌하도록 법이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회사원 한모(28) 씨는 “사람은 생명에 가장 애착을 가진다”며 “사형이 존재한다는 것만으로 공포심을 조성해 범죄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다산인권센터 관계자는 “사형은 일단 반대다. 원칙적인 입장에 대해 밝히는 것 자체가 유용한것 같지 않다”며 “많은 시민들이 사형제도에 찬성할지 모르겠지만 우리측의 입장은 별다를 바 없다”고 말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 관계자도 “현재 시점에서 저런 흉악범에 대해 우리가 세금까지 내가며 먹여 살려야 하나 생각할 수 있지만, 그사람으로 하여금 반성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런 흉악범에 대해 화나가고 안타깝지만, 갱생의 길을 걷도록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해야 할 것”이라며 “사형은 신중하게 고려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경기지역종교인연대(준) 관계자는 “종교인 대부분의 입장은 같을 것이다. 피해자 가족입장에서는 안타깝지만 사형제도는 바람직하지 못하다”며 “범죄자의 잔인함이 형성된 성격을 바꿔줄 수 있는 사회적 풍토를 만들어야 한다. 사형집행은 또 다른 살인행위”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