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올림픽에서 주목해야할 유망주

임수정 “컨디션 유지가 관건!” ,발차기 순발력·체력·파워 으뜸

   
2008 베이징올림픽 태권도 국가대표로 선발된 남·녀 4명 중 금메달 획득이 가장 유력시 되는 임수정(20·경희대). 여자 57㎏급에 출전하는 임수정은 금빛 발차기로 태권도 종주국의 위상을 드높이고 한국의 ‘톱 10’ 수성을 이끌기 위해 막바지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임수정은 기본기가 탄탄할뿐 아니라 스피드와 다양한 발기술을 겸비했고, 169㎝의 훤칠한 키에서 뿜어져 나오는 발차기가 일품이다. 특히 남자에 버금가는 체력을 갖고 있어 순발력과 파워에서 만큼은 압도적이라는 평가다.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51㎏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임수정은 2006년 세계대학태권도선수권대회와 2007년 방콕유니버시아드게임에서 잇따라 정상에 오르며 최고의 기량을 과시했다. 임수정은 최고의 실력을 갖췄지만 국제대회 보다 높은 국내 대표선발전의 벽을 넘지 못한 탓에 올림픽 출전은 이번이 처음이다.

 

힘든 경쟁을 뚫고 올림픽에 나설 기회를 얻은 만큼 마지막이라 생각하고 최선을 다하겠다는 자세다. 임수정의 가장 큰 경쟁자는 미국의 다이애나 로페스(24)다. 로페스가 변칙기술에 능하지만 다양한 공격력을 가진 임수정이 우위에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컨디션을 유지하고 의도대로 경기를 풀어간다면 메달획득엔 이상이 없을 전망이다. 더우기 임수정이 출전하는 여자 57㎏급은 한국이 역대 올림픽에서 한 번도 금메달을 놓친 적이 없다는 ‘메달밭’이다. 2000년 시드니에서는 정재은이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4년전 아테네에서는 장지원이 금메달을 땄다. 임수정이 화려한 ‘금빛 발차기’로 전통을 이을지 거는 기대가 크다.

 

 

정진선 “이긴다는 자신감 중요”, 세계랭킹 4위…장거리 공격 장기
   
2008 베이징올림픽 남자 에페 개인전과 단체전에 출전하는 정진선(24·화성시청)은 한국 펜싱이 숨겨둔 다크호스다. 펜싱은 남·녀 에페와 사브르, 플뢰레 전 모든 종목에서 메달권 진입이 가능한 전력을 갖췄지만 최근 가장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정진선이기 때문이다.

정진선은 지난1월 쿠웨이트그랑프리에서 개인전 2위에 오른 것을 시작으로 스위스와 몬트리올 그랑프리대회 3위, 6월 푸에르토리코 월드컵대회 개인전 우승 등 올해 열린 9차례 국제대회 가운데 5번 3위안에 드는 절정의 기량을 과시했다. 특히 베이징올림픽을 앞두고 치른 4번의 국제대회에서는 금 1개와 동메달 2개를 따내며 지난해 93위였던 세계랭킹도 4위까지 끌어 올렸다. 한국 남자 펜싱선수 가운데 에페에서 세계랭킹 5위안에 든 건 정진선이 처음이다.

185㎝의 장신인 정진선은 한국 선수로는 드물게 먼거리에서 공격해 들어가는 펜싱을 구사하며 큰키에도 유연성이 탁월한 강점을 지니고 있다. 또 그동안 경험이 부족해 시종일관 대등한 경기를 펼치고도 막판에 무너지는 모습을 보여 왔던 단점도 꾸준한 국제경기 출전으로 경기운영 능력과 승리 경험이 쌓이면서 심리적인 안정감을 찾아 자신의 실력을 십분 발휘할 수 있게 됐다.

여기에 올해 국제펜싱연맹(FIE) 랭킹 1위인 실비오 페르난데스(베네수엘라)를 상대로 1승1패를 기록하는 등 랭킹 상위권 선수들과 백중세를 보이고 있어 메달 가능성을 부풀리게 했다. 정진선은 “기술적인 부분보다 내가 이긴다는 자신감이 중요하다”며 “올해 큰경기에서 꾸준히 성적을 거둬 자신감은 충분하다. 끝까지 열심히 해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싶다”고 각오를 밝혔다.

 

정지현 “2연패 달성 이상무” , 들어올리기·그라운드 기술 노련
   
레슬링은 올림픽에서 전통적으로 한국의 효자종목이다.

1976년 몬트리올에서 양정모가 한국 올림픽 사상 첫 금메달을 목에 건 것을 시작으로 1984년 LA(김원기·유인탁), 1988년 서울(한명우·김영남), 1992년 바르셀로나(박장순·안한봉), 1996년 애틀란타와 2000년 시드니(심권초), 2004년 아테네(정지현)에 이르기까지 레슬링은 총 금 10, 은 11, 동메달 11개를 따내며 한국의 종합순위를 높이는 결정적인 역할을 해왔다.

이번 베이징올림픽에서도 역시 레슬링은 유력한 금메달 종목 가운데 하나다. 그 중심에는 그레코로만형 60㎏급에서 올림픽 2연패에 도전하는 정지현(25·삼성생명)이 서있다.

정지현은 레슬링에서 필수 요소인 지구력과 순발력도 타 선수들에 비해 뛰어난 데 다 웬만한 상대는 힘으로 압도할 수 있는 파워까지 겸비했다.

강력한 파워를 바탕으로 들어올리기를 주특기로 사용하는 정지현은 스탠딩 자세에서의 밸런스뿐 아니라 그라운드 기술 또한 강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4년전 금메달의 맛을 봤던 정지현은 기량면에서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이번 올림픽 역시 특별한 라이벌로 꼽히는 상대가 없어 오직 자기와의 싸움만이 메달의 색깔을 결정지을 전망이다. 다만 2006 도하아시안게임 금메달리스트인 일본의 사사모토 마코토가 정지현의 올림픽 2연패를 저지할 후보로 꼽히고 있다. 사사모토 마코토는 수비가 좋고 노련한 경기운영 능력을 지닌 까다로운 상로 정지현과의 역대 전적에서도 1승1패로 호각세를 보이고 있다.

경기를 앞두고 평균 5~6㎏ 정도씩 감량하지만 한때 66㎏급에서 뛰었던 정지현은 10㎏ 가량을 줄여야 한다. 정지현 역시 살인적인 체중 감량에 적잖이 힘들어고 있지만 이번 올림픽에서 꼭 “한국에 금메달을 선사하겠다”는 각오로 막바지 훈련에 전념하고 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