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시가 제17차 세계유기농대회 준비의 일환으로 유기농 박물관 등을 건립할 부지 매수를 위한 ‘공유재산 관리계획 변경안’ 상정을 추진하다가 시의회로 부터 졸속 추진이란 지적을 받고 상정계획을 철회해 주먹구구식이란 비난을 받고 있다.
특히 시는 150억원이란 막대한 시비가 소요되는 사업계획을 수립하면서 타당성 검토도 하지 않고 ‘공유재산 관리계획 변경안’을 상정, 시의회의 승인을 받아 부지를 매수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더욱 질책을 받고 있다.
21일 시의회와 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시의회 자치행정위원회에 유기농 박물관 및 유기농 2,3차 산업의 연구센터, 유기농체험장 설치, 대회시 박람회장으로 사용할 부지 활용방안에 대한 검토보고서인 ‘유기농 박물관 및 유기농센터 부지 매수’건을 보고 했다.
이 계획은 조안면 삼봉리 일원 4만1천553㎡를 시비 150억원을 들여 부지를 매수한 후 추가로 100억여원의 건축비를 투입해 관련 시설을 갖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보고를 청취한 시의원들은 대회 조직위가 구성된 후 구체적인 계획수립과 추진 등이 진행되어야 하는데 대회 조직위 등 주최측과 협의도 되지 않았고 전체 계획이 미정인 상태에서 막대한 시비가 투입되는 계획을 앞서 추진하려는 것은 졸속행정이라고 지적을 했다.
시는 이에 앞서 지난 12일 부지 매수를 위한 절차로 제2회 추경에서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공유재산 관리계획 변경안’을 시의회 자치행정위원회에 회부 되도록 했으나 이같은 시의회의 지적이 있은 후 17일 상정안 철회를 요구했고 시의회는 18일 철회를 승인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타당성 검토를 미처 하지못해 상정안을 철회했다”고 말했다.
제17차 세계유기농대회와 관련, 경기도의 한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계획이 수립되지 않았다”며 “10월부터 유기농 관련 단체, 팔당지역 시·군 관계자들과 협의해 조직위 구성과 역할분담을 비롯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성공적인 대회를 위한 점검차원에서 2009년도 한국유기농대회 개최, 2010년도 아시아유기농대회 개최 등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