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등 수도권 지역의 미분양 사태가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 7월 경기지역의 미분양 현황은 지난해 12월 대비 50.4%(6871가구) 늘어난 2만514가구이고 수도권 지역은 57.1%(8353가구) 늘어난 2만2977가구로 조사됐다.
이는 미분양 규모가 가장 컸던 2000년 1만4886가구를 크게 초과한 수치이다.
특히 대한주택공사에서 지난 6일부터 공급한 오산세교 휴먼시아 C-3블럭의 경우 1060가구 모집 중 약 14%인 145가구만이 접수돼 대량미달사태가 발생했다.
대한주택공사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내주 당첨사실이 기록에 남지 않는 무순위 분양을 계획하고 있다.
직장인 김모(37,수원시)는 “전매제한과 세제 개편안 등 워낙 어지러운 부동산 시장 때문에 쉽게 분양을 결정하기 어렵다”며 “일단 부동산시장을 관망하는 전체적인 분위기에 따라가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주택건설협회 경기지부 관계자는 “얼어붙은 부동산 경기에 누적되는 아파트 미분양사태는 우선적으로 건설업체의 자금조달문제에 제동이 걸리며 최악의 경우 기존 분양자들의 계약 중도포기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올해 연말을 넘기기 힘든 건설사들이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지적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도 “지방에서 주로 일어났던 미분양사태가 경기도 등 수도권의 미분양사태로 이어지는 실정이며, 수도권 중에서도 특히 외곽지역의 미분양사태가 심각하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워낙 건설경기가 어렵다 보니 분양시점을 내년 이후로 연기하는 기업도 늘어나고 있고. 앞으로 미분양사태는 더욱 늘어난 전망이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같이 어려운 상황에 건설사들은 미분양 사태를 수습하고자 계약금 5%와 중도금의 무이자 등 수익감소를 감수하며 미분양 물량처리에 고심하고 있지만 수도권의 경우 과밀억제지역에 따른 전매제한이 적용되고 계속되는 부동산 경기침체로 물량처리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