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런 행위도 못하게 묶어 놓고,해마다 공시지가 상승으로 세 부담은 가중되고,개발계획 추진 기미는 보이지 않고,우리는 어떻게 하란 겁니까?”
남양주 지금 택지개발 예정지구로 지정된 지역의 토지주와 건물주들은 국토해양부와 한국토지공사(이하.토공)에 대한 불만이 이만 저만이 아니다. 남양주시 지금동 일원은 지난 2006년 1월 시에서 택지개발 예정지구 지정을 위한 주민공람 및 행정규제를 하면서 모든 행위가 금지 된데 이어, 2007년 12월31일 당시 건설교통부에서 택지개발 예정지구로 지정을 한 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 지역 토지주와 건물주들은 “행위제한을 받고 있는 데다 매매는 전혀 안되고 있어도 매년 공시지가의 상승으로 세 부담은 늘어 나고 있다”며 하소연을 하고 있다.
또, 상가 세입자들은 월세도 제대로 내지 않고 있는가 하면,빈 상가나 사무실이 있어도 들어오겠다는 사람이 없어 이중 삼중으로 피해를 보는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토공은 당초 지금동, 가운동, 이패동, 수석동 일원 개발제한구역 2백1천㎡에 대해 2008년 12월 개발계획 승인을 받아 19,066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7,744세대 20,907명을 수용하는 택지를 개발계획 승인일로 부터 오는 2013년 12월까지 개발하겠다고 했다.
토공 관계자들은 그러나, 지난해 말 남양주시청에서 주민들과 시청 간부들이 참석한 가운데 당초 발표 보다 늦은 2009년 6월부터 개발계획 승인 절차를 밟아 단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와관련, 토공 관계자는 20일 지금택지개발예정지구의 추진사항을 묻는 전화 질문에 “현재 개발계획 승인을 위해 남양주시 등 관계기관과 협의 중에 있으며,협의가 끝나는 데로 빠른 시일내 개발계획 승인 절차를 걸쳐 올해 안에 국토해양부에 신청하고 승인까지 받을 예정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세계금융위기와 국내 부동산 경기침체 등에 따른 투자여력 감소 및 택지수요 감안 등의 요인으로 바로 보상에 들어 가지 못하고 빨라야 2010년 말께나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 붙였다.
하지만, 남양주시 관계자에게 “현재 지금 택지개발사업과 관련해 토공과 협의중에 있는가?”고 묻자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대답 했다.
시 관계자의 이같은 대답은 토공 관계자가 민원인에게 사실과 다르게 말을 했다는 뜻이다.
이 지역의 토지주와 건물주들은 국가사업이란 미영아래 수년째 갖가지 피해를 보고 있는데도 공기업인 토지공사는 신뢰성 없는 말만 하고 있다고 분개하며, 빠른 사업 추진과 보상 착수를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