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로 인한 출어포기에다 지역경기 침체로 이어지면서 어촌 사회가 송두리째 흔들리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옹진군 섬 주민 가운데 80%가 어업에 종사하는 연평도는 예년 같으면 미리 배를 수리하고 어구를 손질하는 어민들로 북적였으나 지금은 적막만이 흐르고 있다.
특히 지난달 초부터 꽃게잡이가 시작됐으나 북한의 로켓발사로 인해 출어금지가 내려져 한동안 어민들은 생계에 시달리고 초조한 마음으로 출어해제를 기다려 지난 6일부터 꽃게를 잡고 있으나 판로가 없어 이중고를 겪고 있다.
어민 강모(49)씨는 “살인적인 기름값 폭등과 판로 문제 등으로 대부분의 주민들이 고기잡이에 나설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어선 40척 중 10척 정도 어민들은 출어를 포기하고 있다”고 말한다.
수협에서 도서5개소에 기름을 공급하고 있지만 유가폭등으로 수협도 적자운영을 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어민들이 잡은 꽃게는 전 물량 수협에서 위판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정부는 고유가 대책으로 어업인들도 유가 인상 추이에 따라 리터당 최대 183원의 보조금을 지원 받을 수 있으나 현재의 유류 가격 수준이 워낙 비싼점을 감안, 효과는 극히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어민들 사이에서는 현재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유가보조금이 유가를 인하하는 방식이 아니라 추가 상승 범위에서 일정 한도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단지 조금 덜 오르는 것 뿐이지 결국은 지금보다 더 비싼 가격에 살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회의적인 반응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 유류 지원대상도 경유로 한정했기에 휘발유나 벙커C유 등 다른 유종을 사용하는 어업인들은 지원 혜택을 볼 수 없다는 점도 어민들을 옥죄고 있는 사항이다.
이로인해 어업용 유류를 공급하는 인천수협도 뚜렷한 대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어민들은 “사회 전 계층을 아우르는 고유가 극복대책과 별도로 어민들의 고충을 감안한 획기적인 어민보호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