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운영위원회 원외 당협위원장들이 최근 당 쇄신특위에 다음 지방선거에서 시·도지사, 시장·군수 등 자치단체장과 시·도의원 등 광역 및 기초의회 공천권을 중앙당과 당협 위원장들이 나눠 갖자고 한 것으로 알려져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특히 일부 원외 당협위원장들의 이번 주장이 쇄신특위에서 받아들여질 경우 중앙당의 권한이 지금보다 막강해지고, 시도당의 역할이 상당부분 축소될 것으로 예측돼 관심이 모아진다.
20일 복수의 한나라당 당협위원장들에 따르면 한나라당은 지난 19일 여의도 당사에서 원희룡 당쇄신특위 위원장과 운영위 원외당협위원장 등 20여명이 모여 내년 지방선거 공천권과 관련된 논의를 집중적으로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이 모임에선 원내대표 경선과 당쇄신 운영방안 등 당내 굵직한 현안들이 다뤄질 것으로 예상됐으나 실질적으로는 지방선거 관련 공천 문제와 현재 20여곳의 사고당협 문제 등이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수도권의 한 당협위원장 측은 “모임에서는 2010년 지방선거와 관련한 공천권 문제와 사고당협 문제 등이 다뤄졌다”면서 “하지만 논의됐던 내용들이 결정된 것은 아니고 심도깊은 대화가 오갔다”고 말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같은 논의가 진행된 것은 그동안 지자체장과 지방의회 공천에서 입김이 쌘 일부 국회의원들의 판단과 주장이 곧 공천으로 연결됐다는 뿌리깊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란 관측이다.
특히 논의에 참여한 대다수 당협위원장들은 중앙당 중심의 책임정치 강화와 중앙과 광역, 기초의회를 잇는 이같은 내용을 정치발전을 위한 긍정적인 안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참석자들은 전했다.
원외 당협위원장들의 이같은 안은 지역구에서 보다 안정적인 정치기반을 구축하고 체계적인 정치를 실현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안이 당 쇄신위에 받아들여 질질지는 아직 미지수다.
한 당직자는 이와 관련해 "원외 당협위원장들의 의견으로 아직 쇄신위에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안다"며 "앞으로 쇄신특위에서 여러 건의를 받아들여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