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용절차 복잡' 지하철 1회용 교통카드 외면

수도권 지하철에서 종이승차권의 제작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1회용교통카드를 도입, 시행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사용절차가 복잡해 이용률이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이를 운영하는 업체는 카드이용을 활성화하려는 대책마련조차 하지 않고 있어 이용객들로부터 더욱 외면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다.

3일 코레일과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 인천지하철공사 등에 따르면 수도권 지하철을 운영하는 이 4개 업체는 1회용 종이승차권에 들어가는 연간 31억원의 제작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지난 5월부터 각 역에 카드발행기와 환급기를 설치해 ‘1회용 교통카드 제도’를 시행했다.

지하철 이용자는 목적지까지 지하철비용과 보증금 500원을 카드발행기에 지급, 카드를 발급받은 뒤 도착역에서 환급기에 카드를 반환하고 보증금 500원을 돌려받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용자들은 이같이 절차가 복잡하다는 이유로 현재까지 사용 가능한 종이승차권을 이용하고 있어 카드이용률이 극히 저조한 실정이다.

실제 수원역에서는 하루 평균 8만 여명 중 1만 여명이 1회용 종이승차권을 사용하고 있지만 1회용교통카드는 500여명만 이용하고 있어 1회용 종이승차권 이용자 중 5%의 이용률에 그치고 있다.

또 의정부역의 경우 종이승차권 이용자가 6천명인데 반해 교통카드 이용자는 93명(1회용 종이승차권 이용자 대비 1.5%), 안양역의 경우 교통카드 이용자가 140명에 그쳐 종이승차권 이용자 4천600명에 3%에 불과하다.

이같이 카드이용률이 극히 저조하지만 4개 운영업체는 카드이용 활성화를 위한 대책마련 조차 하지 않아 시민단체 등의 지적을 받고 있다.

수원경실련 김미정 사무국장 “절차가 복잡해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는데도 뒷짐을 지고 있는 데에 문제가 있다”며 “비용절감을 위한 제도시행의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종이승차권을 사용을 제한하는 등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코레일 관계자는 “제도를 시행하기 전에 종이승차권을 일정기간 사용하도록 유예기간을 정해 카드이용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했어야 하지만 업체 간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며 “좋은 취지의 제도인 만큼 활성화를 위해 타 업체와 대안을 검토 중이다”고 밝혔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