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7일 ‘6월 임시국회’ 개회 문제를 놓고 공방을 벌였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여파로 6월 국회 개회 시점이 이달 중순 이후로 늦춰져 언제 열릴지 모르는 상황에서 한나라당과 자유선진당은 민생입법 처리를 위해 조속한 개회를 거듭 촉구했으나 민주당은 이명박 대통령 사과 및 국정기조 전환 등이 우선이라고 맞섰다.
특히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6월 국회 개회가 늦어지고 있는데 대해 상대측 책임론을 제기하며 신경전을 연출했다.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본회의를 열지 않더라도 상임위부터 열어 민생 법안을 다뤄야 한다”면서 “민주당이 상임위 개최에 부정적이라면 모레부터 다른 정당과 함께 상임위를 열겠다”고 밝혔다.
윤상현 대변인도 브리핑에서 “민주당이 국민과 국회를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 연일 정치공세의 수준을 높여 자신들의 정치적 목적만 달성하려는 구태정치로만 일관하고 있다”면서 “민주당은 ‘국회에 들어갈 테니 조건을 들어달라’는 식의 응석을 언제까지 부릴 것이냐”고 비난했다.
이에 반해 이강래 민주당 원내대표는 “국회를 열 준비가 돼 있지만,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와 관련한 이명박 대통령의 사과와 국정 조사 요구에 한나라당이 먼저 답변해야 한다”며 “상임위 몇 개만 먼저 열자는 것은 편법”이라고 주장했다.
노영민 대변인도 구두논평을 통해 “한나라당은 지금 당내 계파싸움 및 갈등에 눈이 멀어 국회를 열 준비를 전혀 하지 않고 있다”면서 “진정성 없는 개회 요구를 할 것이 아니라 대통령 사과와 국정기조 전환 등 민주당의 요구사항에 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가능하면 이번 주 안에 개회해 모든 현안을 국회에서 논의해야 한다”고 촉구한 뒤 “국회를 여는 전제조건으로 대통령 사과를 요구한 것은 3권 분립에 어긋난다”며 여권과 민주당 양측에 ‘한 발짝 양보’를 요구했다.
한편 한나라당은 지난 5일 6월 임시국회 개최를 위한 단독 상임위 소집을 예고하면서 야당에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이 참석하는 ‘6자회담’을 제의키로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