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원내대표가 9일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이어진 조문정국을 둘러싸고 첨예하게 대립했다.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와 이강래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6월 임시국회와 조문정국, 비정규직법, 미디어법 등 각종 현안을 놓고 날선 공방을 벌였다.
이강래 원내대표는 “이른바 ‘박연차 게이트’ 수사는 지난해 7월 한상률 전 국세청장이 태광실업에 대한 세무조사에 들어가면서부터 시작된 것”이라며 “민주당은 고 노 전 대통령 서거를 정치보복에 의한 것으로 규명했다”고 주장했다.
이 원내대표는 “태광실업의 소속기관이 부산임에도 서울에서 세무조사를 하고 한 전 국세청장이 이명박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후 (보고자료가) 검찰에 넘어가면서 본격적인 조사가 진행됐다”며 “고 노 전 대통령을 표적으로 포괄적 뇌물죄로 단정해 ‘짜맞추기 수사’, ‘중계방송 수사’를 했는데 명백한 사죄와 책임자 처벌을 요청한다”고 촉구했다.
안 원내대표는 “이번 사건은 고 노 전 대통령 때부터 내사를 해오던 사건으로 한 전 국세청장이 이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해서 검찰에 넘겼다는 말은 근거없는 말”이라며 “검찰이 잘못한 것이 있으면 국회에 들어와서 바꾸면 되지 않냐, 특검 도입 등에 대해서는 국회에서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에 이 원내대표는 “진상조사와 전직 대통령이 불행해지는 역사를 없애기 위해 국정조사와 특검은 필수적”이라며 “야당이 납득하고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한나라당의) 답변이 전제돼야 국회에 들어갈 것”이라며 물러서지 않았다.
또 미디어법 처리 등과 관련해 안 원내대표는 “지난 2월 국회에서 국민들 앞에 약속한 것으로 6월 임시국회에서 표결처리하자고 한 국민과의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 원내대표는 “미디어 뿐만 아니라 MB악법은 철회가 옳다”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다만 이날 안 원내대표와 이 원내대표가 개헌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의 입장을 밝혀 향후 추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