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원·달러 환율 하락으로 인해 수출물가가 40년 만에 가장 큰 급락폭을 보이면서 수출업계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출물가가 하락하면 교역조건과 기업 채산성은 악화되는 반면 수출물량은 늘어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최근 대외적으로 수출주문이 급감하는 등의 수요부진상황에서는 수출부진을 벗어나기 힘들기 때문이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물가(원화)는 지난해 말 대비 7.6% 떨어져 5개월(1~5월) 기준으로는 관련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1971년 이후 최대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5월 수출물가가 전년말 대비 마이너스 증가율을 나타낸 경우는 1971년 이후 ▲1989년 -1.2% ▲1996년 -5.4% ▲1998년 -2.5% ▲1999년 -3.7% ▲2000년 -1.5% ▲2001년 -0.6% ▲2003년 -1.3% ▲2005년 -3.4% ▲2006년 -5,8% 외에는 없다.
이는 세계경기 침체에다 원.달러 환율까지 떨어져 수출물가 급락한 것으로 한국은행은 설명했다.
분야별로는 종이 및 종이제품이 20.5% 떨어졌고 금속1차제품 19.9%, 정밀기계제품 15.5%, 조립금속제품 15.0%, 섬유의복 및 가죽제품 13.0%, 전기장비제품 12.0% 등의 비율로 하락했다.
반면 석유화학 및 고무제품은 5.5% 올랐고 농림수산식품은 1.8% 내리는데 머물렀다.
품목별로는 철강압연품이 작년말 보다 비해 25.9% 하락했고 표면처리강재 37.6%, 기타철강1차제품 25.2% 등의 순으로 내렸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최근 수출물가하락은 환율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작년과 달리 올해는 해외수요가 줄어든데다 수입업체가 싼 제품만 찾기 때문에 올 하반기에도 여전히 지난해에 이어 수출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