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쇄신특위는 3일 국무총리를 포함한 내각 및 청와대 개편, 조기 전당대회 개최를 통한 새 지도부 구성 등을 골자로 한 ‘국정운영과 당 쇄신방안’을 당 지도부와 청와대에 전달했다.
원희룡 쇄신특위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정운영 쇄신방안에 대해선 보수를 기반으로 한 중도실용정권이었다는 원래 초심으로 돌아가 중도실용의 국정운영 기조를 회복하라는 내용을 담았다”면서 “내각과 청와대 참모에 대해서는 새로운 국정운영 기조에 맞게 인사들도 대폭 쇄신하는 내용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쇄신위는 구체적인 국정운영 쇄신방안으로 ‘국민통합형 총리’ 임명을 비롯해 정무장관직 신설, 대야 소통 강화를 위한 정무수석의 적극적 역할, 대통령의 친서민 행보 상시화, 비판적 시민단체와의 관계 개선, 정제된 공권력 운용, 정부조직 개편 필요성 등을 제안했다.
조기 전당대회를 통한 새 지도부 구성에 대해서도 내부적으로 1월 전대가 10월 전대보다 다수안으로 제시됐으나 당 화합 여건의 예측 불가성을 이유로 구체적 시기는 못박지 않겠다고 밝히고, 운영위원회 구성과 당론 표결제 등을 제시했다.
공천제도 개선과 관련해서도, 원희룡 위원장은 “당헌당규에 규정된 상향식 공천을 전면으로 실시하고 국회의원, 기초단체장 선거는 원칙적으로 경선을 통하는 방식을 피할 수 없게 됐다”며 “소규모 양질의 선거인단 경선을 하는 후보추천위원회 제도를 도입해 활용하도록 강력히 권고키로 했다”고 밝혔다.
한편, 쇄신위의 최종 쇄신안 발표에도 불구하고 당 안팎의 이런저런 알력 속에 핵심 쟁점이 무뎌지고, ‘성과’를 둘러싸곤 회의론마저 일고 있는 실정이어서 청와대와 당 지도부가 받아들여질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