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15일 여야의 팽팽한 입장차로 물리적 충돌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는 미디어법과 관련해 “가능하면 여야 합의를 통해 처리해야 한다는게 저의 생각”이라면서 여야의 협상을 촉구하고 나섰다.
박 전 대표는 이날 본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사견임을 전제로 “신문과 대기업의 지상파 방송에 대한 소유지분 상한을 20% 정도로 규제하고, 종합편성채널과 보도채널의 소유지분은 모두 30% 정도가 적당하다”고 ‘박근혜식 묘책’까지 내놓았다.
그동안의 침묵을 깬 박 전 대표의 발언의 영향력은 엄청났다.
당장 국회 문방위원장인 한나라당 고흥길 의원은 “박근혜 대표의 말은 원론적인 것이고 문방위원들의 생각도 큰 틀에서 같다”면서 “박 전 대표가 제안한 매체 합산 시장점유율에 대한 측정방법은 논란이 될 수 있겠지만 앞으로의 논의에서 박 전 대표의 안도 수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박 전 대표의 측근인 이정현 의원은 “박 전 대표는 규제완화의 법개정에 찬성하면서도 여론 독과점 우려에 대해 대안을 제시한 것”이라면서 “여야 모두 양보를 하면 합의처리 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또 당론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가급적 합의처리를 했으면 좋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지 직권상정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박 전 대표의 이번 발언이 과거 쟁점법안을 둘러싸고 국회 파행이 거듭될 때마다 여야 협상의 방향타 역할을 했던 것처럼 또 한번 위력을 발휘할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