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논란이 가열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정치권이 행정부처 대신 수도권 공장들을 세종시로 이전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정부와 충청권간 갈등의 불똥이 엉뚱하게 경기도로 튀고 있다.
22일 한나라당에 따르면 최근 당 소속 임동규 의원이 ‘연기·공주지역 녹색첨단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을 발의 중에 있으며, 이명박 대통령도 세종시 관련, 행정부처 이전 대신 산업도시로 만들어야 한다고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기·공주지역 녹색첨단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은 행정부처 이전 원안을 백지화하는 대신 신재생 에너지 산업, 연구·과학, 국제의료 도시화, 항공우주산업 등 자족기능을 위한 산업을 유치하는 방안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 역시 최근 비공개 석상에서 세종시 원안에 대해 반대하면서 산업단지를 유치해야 한다고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은 “과거 포항의 허허벌판에 포항제철을 만들고, 구미도 전자단지를 유치해 수십년을 먹고 살았다”며 “세종시도 그런 걸 만들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행정도시로 만들겠다는 세종시를 산업도시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이같은 계획에는 서울지역 의원들을 중심으로 대다수 여당 의원들도 동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경우 “행정부처 대신 수도권 공장들이 대거 충청권으로 옮겨가야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아직까지는 세종시의 산업도시화가 수도권 공장의 대거 이전이라는 전제를 둔 정부의 구체적 계획이나 복안이 드러나지 않아 경기지역 기업들의 이탈을 우려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의견도 있다.
반면 수도권 공장과 기업의 지방이전은 이명박 정부의 국정운영 기조와 맞물리고 있어 세종시 산업도시화를 구실로 수도권 공장들의 이전계획이 수립될 가능성도 높다.
이 대통령은 당선이 되자마자 공기업 지방 이전을 추진해 왔으며 민간기업의 지방 이전에 대해서도 상당한 관심을 가져 왔다. 이에 세종시를 수도권 기업의 보금자리로 만들려고 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