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5명을 새로 뽑는 10월 28일 재·보선 결과 한나라당이 2곳, 민주당이 3곳에서 승리를 거뒀다.
숫자상으로는 한나라당도 체면치레를 했다는 평가가 가능할 것이지만 민주당이 후보를 내지 않은 강릉을 제외하면 실제로 야당 후보를 이긴 지역은 1곳에 불과하다. 지난 4·29 재보선에 이어 연이은 참패다.
이번 선거에서 한나라당은 지역발전과 경제를 살리기 위해 힘 있는 일꾼을 뽑아달라고 호소했고 민주당은 세종시와 4대강 사업 등 현 정부 정책에 문제점이 많다고 지적하면서 여당에 회초리를 들 것을 주문하면서 이명박 정권 심판론을 내세웠다. 결과적으로 국민은 민주당을 선택했다.
특히 민심의 바로미터 성격을 지닌 수원 장안과 안산 상록을 에서 유권자들은 한나라당을 외면했을 뿐만 아니라 경남 양산 선거를 살펴보면 여당의 패배는 더욱 명확해진다. ‘한나라당 깃발만 꼽아도 당선 된다’는 ‘텃밭’에 박희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출마했지만 인지도가 현격하게 차이나는 민주당 후보와도 피말리는 접전을 했기 때문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재래시장·농촌 등을 방문하며, 지지율을 한때 50%선까지 끌어올렸다. 이명박 대통령 지지율 고공행진을 등에 업고 시작한 이번 선거에서 한나라당의 패배는 하반기 정국운영에 상당한 부담감을 떠안게 됐다. 여기에 정몽준 대표 체제가 들어서면서 잠시 봉합됐던 쇄신론이 재점화될 가능성이 높다. 선거패배 책임론이 거론되면서 조기 전당대회 개최 등 지도부 개편 요구가 제기될 경우 당 내홍에 휩싸일 수밖에 없다.
정부와 한나라당은 이번 선거에서 나타난 민심을 엄중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말로만의 서민·중도실용이 아니라, 구체적인 정책과 행동이 따르는 진정성 있는 서민·중도실용 정책을 민심은 원한다.
이제 장밋빛 청사진이 화려했던 선거는 끝났다.
하지만 경기침체에 따른 중산층과 서민들의 고통은 끝이 없다. 국민들은 왜 회초리를 들었을까? 정부여당의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