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지방자치단체장 7~8명이 검찰의 수사대상에 올랐다고 본보가 보도했다.(11월 2일자 1면) 최근 군포시장과 오산시장이 뇌물수수 혐의로 소환조사를 받은 이후 나온 보도여서 지역정가와 공직사회가 바짝 긴장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다. 수사를 받고 있거나 수사선상에 오른 단체장들이 내년 지방선거에 재도전 의지를 다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내년 지방선거 판도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단체장들의 지역 토착세력과 연계된 금품수수 사건은 관선시대나 민선 단체장 시대를 불문하고 거의 같은 수법으로 끊임 없이 이어지고 있어 토착세력들과의 연결고리를 끊고 행정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방자치의 변화 움직임에 검찰의 수사결과도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관심이 모아진다. 수원지검 특수부는 지난달 30일 오산시 아파트 건설과 관련해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소환조사한 이기하 오산시장에 대해 사전 구속영장 청구여부를 검토 중이다. 수원지검 안양지청은 전현직 비서를 통해 2억9천만원을 모금해 재판비용을 마련한 혐의로 노재영 군포시장에 대해 수사 중이다. 이에앞서 기업체에 대북사업지원기금을 내도록 압력을 행사한 혐의로 기소된 이동희 안성시장은 지난해 10월부터 수사를 받기 시작해 지난 8월 1심에서 제3자 뇌물수수죄로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항소한 상태다.
검찰이 일부 혐의를 포착했거나 첩보를 입수해 내사중인 경기남부권 3명과 북부권 2명 등 모두 7~8명에 이른다. 이들 중 대부분은 내년 지방선거 출마가 유력시 된다. 검찰은 A시와 B시 단체장은 뇌물수수와 정치자금법 위반 등과 관련된 단서를 확보해 놓고 내부적으로 보강조사를 벌이고 있다. C시의 경우 아파트 건설 인허가 특혜시비 과정에서 단체장이 개입되어 있다는 의혹이, D시의 경우도 지난해부터 토지 용도변경, 건축허가 등과 관련해 시장이 관여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그 어느 때보다 강한 수사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는 지난달 김준규 검찰총장이 전국 특수부장회의에서 수사 패러다임 변화를 언급하고, 이명박 대통령이 광복절 축사에서 강조한 토착비리 척결에 수사력을 집중해달라고 주문한 뒤여서 강도 높은 수사가 될 것임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때만 되면 고개를 드는 지역토착비리는 항상 단체장이 그 중심에 서 있다. 검찰은 엄정하고 단호하게 또 신속하게 수사를 벌여 지방살림을 좀먹는 단체장들을 솎아 내고 또 행정공백도 최소화해야 한다. 물론 억울한 피해자가 나와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