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수원·화성·오산시, 성남·하남·광주시, 안양·군포·의왕시, 충북의 청주·청원시, 경남의 창원·마산·진해시와 진주·산청군 등 6개 지역 16개 시·군이 행정구역 통합 대상으로 선정됐다. 경기도의 경우 통합건의서를 냈던 동두천·양주·의정부시, 남양주·구리시, 안산·시흥시 등 3개 지역 7개 시는 여론조사 찬성률이 50% 미만으로 나타나 통합 대상에서 제외됐다.
대상은 결정되었지만 반대의 목소리는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하나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기준이 모호해 신뢰하기 어렵다는 것이고, 둘째는 지방의회의 의결만으로 체결하기에는 사안이 너무 중요하기 때문에 시의회 의결을 배제하고 바로 주민투표를 해야한다는 주장이다. 9개 시 가운데 인구 14만의 하남시의 경우 시의원 5명, 13만명의 의왕시는 6명, 15만의 오산시는 7명, 23만의 광주시는 8명, 27만의 군포시는 9명, 48만의 화성시는 11명에 불과하다. 144만여명의 의사를 46명의 시의원이 찬반 의결을 했을 때 과연 지역주민들이 군말없이 승복할지 의문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아직은 공식 입장을 제시한 시의회는 없지만 시의원 사이에서는 의회 차원의 의결이 옳은지 여부에 대해 논란이 없지않을 것 같다.
그러나 추진방향을 바꿀 단계는 이미 지났다. 해당지역 시의원들이 명심해야할 것은 크게 두가지다. 첫째는 사심을 버려야 한다. 개인의 이해관계와 결부시킬 사안이 아니기 때문이다. 둘째는 정치적 고려를 배제해야 한다. 정권은 언제나 바뀔 수 있지만 한번 바뀐 행정구역은 백년도 가고 이백년도 갈 수 있고, 지역과 주민생활의 흥망이 걸린 사활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당시 시의원들은 하늘을 우러러 보고 땅을 굽어 봐도 부끄러움이 없는 일생일대의 영단을 내려야 할 것이다. 반면에 통합안이 부결돼 주민투표를 하게 될 경우 시민들도 똑같은 생각으로 투표에 임해야 할 것이다. 도내의 3개 지역 가운데 어느 지역이 의회 의결로 결정되고, 어느 지역이 주민투표를 하게 될지는 두고 볼 일이다.
지역과 시 차원에서 통합안이 결정된다해도 문제될 것은 너무 많다. 시청사의 위치, 시명칭, 행정방식의 선택 등 민감한 문제들은 산적하다. 그래서 통합보다는 통합 후가 더 문제라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국회의원과 국회는 기득권을 버리고, 새시대를 열 각오를 해야할 것이며 정부도 통합만 하면 모든 것이 끝난다는 안일한 생각을 버리고 사후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