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을 1시간대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는 하늘을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빠른시간에 이동할 수 있는 가히 획기적인 대중교통수단이다. 이렇듯 빠르고 안전하며 저비용 고효율의 친환경 첨단 기술집약체로 만들어질 수도권광역급행철도는 대한민국을 대표할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새로운 이동수단의 탄생은 중앙정부에서 기획된 것이 아니라 김문수 경기도지사의 지방정부에서 입안되고 중앙에 제안된 역발상의 대중교통수단이라는 점에서 타 지방정부의 부러움을 사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지하 40~50m 공간을 최대속도 시속 200km로 활용하는 GTX는 현재 3개 노선 총 연장 145.5km로 건설될 예정으로 타당성 용역결과를 기다려 왔다. 그러나 선수를 경기도에 빼앗겼다고 생각하는 수도권 광역 자치단체들의 견제가 시작되면서 GTX사업일정이 늦춰지고 있다. 이를테면 서울시가 서둘러 U-SMARTWAY 건설을 발표하고, 인천시와 서울시가 지하 경인철도를 검토하고 나오자 칼자루를 쥐고 있는 국토해양부가 GTX일정을 늦추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GTX사업에 대한 타당성 용역결과 발표를 내년 7월로 연기했다. 그동안 GTX노선을 끌어 들이기 위해 동분서주하던 지방정객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도내 최소 7개 지자체에서는 GTX노선 연장이 뜨거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본보 11월 12일자 보도) 특히 이들 지역에서는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노선연장을 핵심 공약사항으로 내걸고 선거에 출마할 움직이 감지되고 있어 자칫 GTX노선연장이 정치논리에 휘둘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역 국회의원들도 내년 지방선거 이후 총선까지도 GTX가 가져다줄 표심을 계산하며 선거구로 GTX노선을 끌어 들이기 위해 전방위 로비를 펼치는 등 안간힘을 쏟고 있다.
그러나 경기도는 이들 정치인들의 요구대로 쉽사리 노선을 연장하기는 쉽지 않다. 철도 노선길이가 50km를 넘을 경우 국책사업으로 전환돼 그동안 GTX 사업의 주도권을 쥐어 온 경기도의 입장에서 이를 포기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GTX가 시간, 비용, 편의성 등 세가지 요소를 충족시키는 획기적인 대중교통수단으로 일컬어지고 있지만 인접한 서울,인천과의 관계설정 등 적잖은 난제가 쌓여있다. 여기에 정치논리까지 가미돼 느려터진 GTX로 전락하고 만다면 도민들의 원성은 높아질 것이 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