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채용박람회 분야별 세분화해야

계속되는 경제침체로 인한 실업률의 증가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전국의 각 지자체들이 앞 다퉈 채용박람회를 열고 있다. 채용박람회장을 찾은 구직자는 기대와 설렘으로 가구 기업체의 구직정보를 꼼꼼히 챙기게 된다. 하지만 이 같은 채용박람회가 실제 채용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한다. 행사의 실효성을 놓고 논란마저 일고 있는 형편이다. 실제로 올해 경기도가 개최한 채용박람회를 찾은 구직자 중 단 3%만이 취업에 성공, 당초 계획의 15%에 불과한 채용률을 보이며 채용박람회의 무용론까지 대두되고 있다고 한다.

이는 경기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송영주 의원(여·민노)이 공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의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도는 올해 본청 6회, 2청 3회 등 모두 9차례(G-FAIR 채용박람회 제외)의 채용박람회를 개최, 496개 업체가 참여하고, 1만1천600여명의 구직자가 행사장을 방문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가운데 실제 면접을 본 인원은 2천812명으로 참여자 대비 24%에 불과했다고 한다. 더욱 기가 막힌 것은 1만1천600여명의 구직자 중 351명만이 취업에 성공, 3%의 저조한 취업성공률을 보였다는 것이다.

송의원에 따르면 올해 도가 채용박람회에 들인 예산은 3억원으로 ‘기업인력난 해소’와 ‘실업 해소’는커녕 예산만 낭비했다는 비난을 듣게 됐다. 몇 달 전 열린 취업박람회에서 만난 한 구직자는 인터넷 취업 사이트에 나와 있는 내용보다 질이 낮은 정보들이어서 실망스럽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그렇다면 본래의 취지와는 달리 왜 이렇게 실효성 없는 행사로 전락하고 만 것일까? 한마디로 기대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현재의 채용박람회는 근무 환경과 보수 등 업체와 구직자 사이의 기대치를 좁혀주는 장치가 부족하다.

따라서 구인·구직자가 충분한 정보를 교류할 수 있도록 주최 측에서 박람회 전부터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 외형적으로 참가 업체 수 늘리기에 급급한 지금의 박람회를 분야별로 세분화할 필요도 있다. 이를테면 박람회를 생산직, 영업직, 사무직, 관리직 등 직능별로 나눠서 연다면, 구직자나 구인업체의 채용성과도 증대될 것이다. 앞으로 각 지자체들이 현재와 같은 천편일률적인 ‘행사를 위한 행사’를 치르기보다는 “구인업체와 구직자의 매칭 비율을 높이는 한편 체계적인 데이터 구축, 전문적 컨설턴트 등을 통해 보다 실속 있는 취업상담과 취업이 되도록 운영전반에 대한 개선을 시도해야 할 것”이라는 송 의원의 지적을 귀담아 들어야 할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