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공원 표류… 아물지 않는 상처
한국전쟁 중이던 1951년 부터 지난 2005년까지 54년간 미 공군 사격장으로 사용됐던 쿠니사격장 100만여㎡의 들판과 표적지로 사용됐던 무인도까지 포함하고 있는 이 사격장에서 평일 하루 평균 11시간 씩 전투기의 기총사격과 폭탄투하 훈련이 이뤄진 아픔의 마을….오폭사고로 주민 11명이 숨지고 소음피해를 겪은 주민도 4천여명이다. 이 때문에 지난 1980년대부터 사격장이 폐쇄될 때까지 주민과의 마찰이 극심했던 매향리의 고통은 언제쯤 사라질 것인가.
주민들은 사격장 조성 당시 500만평 연안의 어장과 50만평의 농경지 및 임야를 헐값에 징발 당했으며, 이후 오폭으로 인한 생명의 위협과 폭발 여파 등으로 인한 주택 파괴, 소음에 따른 난청현상, 환경 파괴 등에 시달려 왔다.그동안 수많은 언론매체를 통해 떠들썩했던 매향리 사격장이 평화공원으로 탈바꿈 하는데 국비확보 및 환경정화 지연으로 또 다시 연기되고 있어 수십 년간 주민들이 겪은 고통 또한 아픔을 더하고 있다. <편집자 주>
당초 화성시는 매향리 사격장 인근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총 2천18억원을 투입, 97만3천㎡부지에 공원 60%, 레저시설 40%로 평화공원을 조성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 2월 ‘주한 미군 공여구역 및 주변지역 등 발전종합계획(수정)’안을 발표하면서 소요 예산의 21%인 424억원만을 지원키로 했다.
당시 정부는 시의 공원 조성계획에 40%를 차지하고 있는 레저시설에 대한 국고지원이 불가하다는 입장 밝혔다.
이로 인해 매향리 평화공원 조성사업은 장기 지연위기에 놓인채 현재까지 표류돼 왔다.
이에 시는 부족한 국비를 더 확보하고자 공원조성 방안을 선회키로 했다. 시는 국비확보를 위해 공원 60%, 레저시설 40%이던 계획을 100%로 공원으로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그러면서 공원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양레저와 관련된 공원조성 계획을 수립한다는 복안이다.
이로 인해 매향리 평화공원 조성사업은 장기 지연위기에 놓인 채 현재까지 표류돼 왔다.
화성시의 추진계획은 2010년 하반기까지 국방부로부터 토지매입 관련협의를 시작하고, 2011년부터 국제설계공모 용역을 발주할 예정으로 이 같은 계획에 따라 최종적으로 2015년까지 공원을 완료한다는 계획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나마 화성시가 정부의 지원을 받기위해 주민들과 함께 꾸준이 싸운 결과라고 평가하고 있다.
이는 매향리의 평화·생태공원은 매향리의 역사교육 체험공간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는 시와 매향리 주민 모두가 공감하는 공원추진 사업이기 때문이다.
시가 계획하는 평화·생태공원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국방부의 환경정화와 충분한 국비확보가 전제돼야 한다.
현재 국비는 424억원을 확보한 상태이지만, 707억원까지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 시의 입장이다.
700여억원의 국비를 확보하더라도 시는 약1천300억원 가량의 시비를 부담해야 되기 때문이다.
매향리는 국가가 아닌 주민사회의 의지와 노력으로 평화적 공간을 확보했다는 상징성을 가진 세계사적 의미가 있다.
이를 감안해, 상생과 화해 정신적 안식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진정한 평화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시민사회의 의견이 있다.
쿠니사격장의 피해상황을 들여다 보면 화성시의 요구가 심한 것은 아니다. 매향리 인근 섬에 조성된 사격장은 총 728만 평으로 로켓포·기관포·기총·레이저포 사격이 실시되는데,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연간 약250일에 걸쳐 실시됐다.
하루 평균 11.5시간 동안 15~30분 간격으로 행해지며, 사격 횟수만도 1일 600회를 넘는다. 주민들은 그동안 훈련이 없는 주말에만 사격장 내 농지에서 농사를 짓거나 바다에 나가 일을 해왔다. 이 사격장이 건립된 이후 피해를 입은 주민만 713가구 4천여명에 달하는데 그동안 오폭사고와 불발탄 폭발로 인해 사망자만 12명, 오폭으로 인해 중상·부상을 당한 주민만도 15명을 넘는다. 그밖에 소음과 폭발 여파 등으로 인한 주택 파괴, 소음에 따른 난청현상, 대규모 환경 및 연안어장 파괴 등 경제적 어려움과 생명의 위협까지 감수해 왔다. 상황이 이 정도면 국비지원을 늘려야 마땅하다.
환경치유 또한, 육상부는 기름유출과 관련하여 어느 정도 합의는 끝났으나 문제는 농섬에 이르는 해상부다.
해상부에 어느 정도의 폭격의 잔해가 있고 깊이를 얼마나 수색할지 감당이 안 되기 때문이다.
해상부 치유를 화성시가 안고 가야할 큰 숙제로 남아있다. 국방부는 해상부 치유를 전면 거부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화성시와 국토해양부의 몫으로 남아있어 공원조성에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우려를 낳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