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들의 겨우살이는 팍팍할 수밖에 없다. 수은주가 뚝 떨어지면 가뜩이나 힘겨운 서민들의 겨울나기는 월동에 들어가는 비용이 늘어나면서 고통의 나날을 보내야 한다. 기획재정부와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11월 소비자 물가 가운데 난로 가격이 전달보다 무려 8.0%가 올라 석유파동이 발생했던 1980년 11월의 26.9% 이래 29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정부와 시민단체가 속옷입기 운동을 벌인 탓도 있겠지만 서민들이 즐겨찾는 내복 가격은 전달보다 9.7% 상승해 28년만에 최고로 가격이 뛰었다. 점퍼도 전달보다 4.2% 올랐고 서민들이 사용하는 LPG 취사용은 작년에 7.9% 오른 데 이어 지난 달에 6.1%가 올랐다. 더욱이 연탄 값은 전달보다 무려 19.1%가 치솟아 이것 역시 1980년 석유파동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서민들의 겨우살이가 그만큼 어려워졌다.
평균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3% 안팎의 안정세를 보이는 것과 달리 서민들의 월동 상품 가격이 이처럼 치솟는 바람에 소비자물가의 안정이 갖는 의미가 그만큼 퇴색됐다고 할 수 있다. 서민들은 내복, 난로, 연탄과 같은 저가의 월동 상품을 구입하면서 피부로 물가를 체감하기 때문이다.
저소득층 서민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내복, 난로, 연탄 등의 가격이 평균 물가 상승률을 3배 이상 웃도는 수준으로 고공행진을 한다니 문제다. 최근 정부는 국제시장에서 에너지 가격이 오르면 국내 사용자들도 이에 연동해 비싼 가격으로 에너지를 사서 쓰도록 하는 에너지가격 원가연동제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렇게 되면 가스는 내년 3월부터, 전기는 내후년부터 국제가격에 연동돼 전기가스료의 가격 추가 상승으로 서민 부담이 더욱 무거워질 것 같다.
이런 점을 걱정해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20일 에너지 연동제 실시와 관련, “에너지 가격현실화 정책이 서민들에게 경제적 부담이 되지 않도록 에너지 복지 정책을 철저히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에너지 가격 현실화도 중요하지만 서민들에 한해서는 복지 차원에서 특별 관리를 지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부는 난로나 내복 같은 월동 상품에 대해서도 기초복지 차원에서 합리적인 가격 관리에 나서야 한다. 수요가 일시적으로 급증하면서 폭리가 없었는지 정부는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생산업체에 원자재가 원활히 공급되도록 지원하는 한편 저리의 생산자금 융자 등 다각적인 가격 안정화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서민들이 추운 겨울을 떨지 않고 지낼 수 있도록 신속한 당국의 대처가 요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