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출산률 제고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노동 인구의 확보가 사회보장제도의 안정 뿐만 아니라 국제 경쟁력 유지에 불가결한 여건으로 보기 때문이다. 육아지원책은 나라마다 차이가 있지만 가장 성공한 나라는 프랑스로 알려져 있다. 프랑스 정부가 저출산 대책을 본격화한 것은 1990년이었다. 3년 뒤인 1993년의 합계특수출산률은 여성 1인당 1.65에 불과했으나 2008년 2.02로 인구수 유지에 필요한 2.08에 근접했다. 취업여성이 출산했을 때 생후 바로 탁아소에 맡길 수 있고, 두 살 반 이상의 유아는 무료로 유치원에 들어 가며, 어린아이가 3인 이상인 세대는 국철 운임과 전기·가스료, 공공시설요금 등의 할인을 받고, 소득과 관계 없이 육아수당을 지급받는다. 프랑스국립통계경제연구소에 따르면 프랑스에서 태어난 신생아 가운데 혼외자(婚外子)가 52%로 과반수를 넘는다. 이들은 ‘연대시민협약(PACS)'에 의해 법적으로 인정받고, 상속권 등의 권리도 보장받는다. 스웨덴도 적극적이다. 90년대 후반 1.5이던 출생률이 2007년 1.88로 증가했는데 정부는 배우자에게도 산모와 같은 권리를 줘 부부 합계 480일(16개월)까지 육아휴업이 가능하다. 덴마크는 재택근무를 권장하고, 기업의 자체 보조금에다 정부가 주는 육아보조금을 얹어 지급하는 등 그야말로 산모에 대한 대우가 극진하다. 독일도 육아지원은 프랑스, 스웨덴, 덴마크 등과 비슷하지만 “어린이는 가정에서 키워야한다”는 의식이 강해서 보육시설이나 탁아소 설치 등은 다소 부진하다.
유럽연합(EU)의 추계에 따르면 약 5억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자 비율이 2008년 17%에서 2060년에는 30%에 달해 심각한 노동력 부족 현상이 생기고, 현재 약 2%의 잠재성장률이 1.3%로 떨어질 뿐만 아니라 연금, 의료비 비담이 팽창할 것으로 내다 보고 있다. 우리나라의 출생률은 1.19%로 세계에서 가장 낮다. 정부는 더 이상 방관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셋째 자녀 이후 출산아에 대해서는 입시와 취직에 우선권을 부여하고, 취학 연령을 6세에서 5세로 낮추는 방안과 3인 이상의 가장 정년 연장도 검토 중이다. 바야흐로 세계는 출산 전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