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통계를 보면 25세에서 39세까지의 젊은 층 취업자가 2008년보다 24만8천명이나 줄어 들었다.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그 전년에 비해 59만 8천명이 감소했던 이후 최악의 실업난이라고 한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이 연령층의 실업자는 2009년 평균 42만3천명으로 2008년 평균 36만4천명보다 5만9천명이 늘었고 실업률도 4%에서 4.8%로 높아졌다. 11월 전체 실업률 3.3%에 비해서도 한참 높은 수치다.
한마디로 20대와 30대가 일자리를 찾는 게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는 얘기다. 특히 그동안 20대에 비해 형편이 나았던 30대의 실업이 부쩍 늘었다는 데 사태의 심각성이 있다. 30대는 일반적으로 직장에서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고 육아와 교육, 내집 마련 등을 생각하는 시기라고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연령층이 일자리를 얻지 못하고 있다면 사회적으로 보통 큰 일이 아니다.
세계 경제전망이 아직 불투명하고, 우리나라 역시 경제를 낙관하기 어렵다고는 하지만, 무엇보다 기업이 신규투자와 채용을 꺼리는 것이 큰 문제다. 심지어 일부 공공기관까지 여기에 합세해 ‘보신경영’을 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상장기업 327곳의 신입사원 공채 경쟁률이 평균 78대 1로 지난해 70대 1보다 높아졌고, 임시 계약직에도 젊은 지원자들이 몰리는 현실을 정부는 정말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희망근로 사업이나 청년 인턴같은 일자리 지원 정책도 중요하지만 이런 임시적인 생계보조보다는 민간부문의 투자와 소비를 활성화시키는 규제 완화 및 서비스산업 육성 대책을 과감하게 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역점을 둬야 한다. 20대 젊은이가 정규 노동시장에 진입하지 못하고 인턴, 아르바이트 같은 비정규직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일도 안타깝지만 가정과 사회에서 기둥 노릇을 해야 할 30대 후반의 가장이 취업을 하지 못하는 것도 큰 문제다.
올해 경기도내 각 시·군을 통해 1단계 공공근로사업 신청을 받은 결과 경쟁률이 10대 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이 일자리 잡기의 현주소를 반영하는 것이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신년사에서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투자 확대만이 살 길”이라며 “수도권을 옥죄는 기업규제, 군사규제, 물규제, 그린벨트 등 각종 규제를 걷어내서 투자와 일자리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국가의 미래도 불투명해진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