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2지방선거가 6개월 앞으로 성큼 다가왔다. 지난 2006년 5·31 지방선거 이래 지금껏 꾸준히 6·2지방선거를 준비해 온 장본인들이 해가 바뀌면서 본격 채비에 나서며 발걸음이 동분서주 하고 있다.
여기에 오산시의 경우 시장·도의원·시의원을 꿈꾸는 신예 도전자들이 그동안 감췄던 발톱을 꺼내 언론과 입소문 등으로 이름을 알리는 대열에 합류하면서 미묘한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예컨대 스스로를 기득권 부류로 생각하는 출마예정자들은 신예 도전자들을 향해 가소롭다는 듯 콧방귀를 뀐다. 특히 수년~몇십년 간 당적을 두고 선거를 준비해 온 이들은 어느날 갑자기 출마를 선언한 신예들에게 “그동안 당을 위해 공헌한 일이 전혀 없는데 무슨 명분으로 출마를 꿈꾸는지 모르겠다”며 정체성을 부정한다.
얼마전 모 여론조사기관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6·2지방선거에서 ‘누구를 선택하겠느냐’는 질문에 이른바 ‘자질론’을 꼽은 응답자가 단연 앞섰다. 그러나 2006년 5·31지방선거를 비롯한 역대 선거는 정당지지도와 당시사회상이 고스란히 반영되면서 ‘묻지마’식 투표가 횡행하는 등 선거특유의 결과를 보였다.
그때마다 자질론은 슬며시 파묻히고 소위 ‘대세’에 편승한 민심이 향배를 갈라 놓았다.
선거에서 누구를 선택하는 문제는 유권자가 판단하는 자의적 결정이다.
아울러 자신이 선택하고 결정한 판단에 책임을 가져야 한다. 2년에 한 번 꼴로 치러지는 선거 때마다 우리는 흔히 후보자의 자질, 역량, 도덕·청렴성 등 보편화된 답안을 제시하며 입버릇처럼 되뇌이고 강조한다.
하지만 결과는 ‘모범답안’이 ‘대세’에 눌리고 만다. 때문에 당선자가 임기중 비리와 사욕의 유혹에 빠져 중도하차 또는 지탄의 대상이 되는 자화상을 그려내기도 한다. 그저 안타깝다고 돌릴 수 없는 노릇이다.
유권자들이 혜안(慧眼)으로 선택하지 않은 몫이 여기에 있다. 모범답안을 고르는 성숙된 선거문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선택은 자유지만 책임을 물어야 할 분명한 이유로 충분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