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초호화판 청사를 완공하고 끊임없이 여론의 질타를 받아왔던 성남시청사가 두고두고 말썽이다. 호화청사 논란에 이어 에너지 낭비가 도마 위에 오른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21일 있었던 지식경제부 업무보고에서 “호화청사를 뜯어고쳐서라도 에너지 효율을 높여야 한다”고 언급한 사실이 최근 알려지면서다.
이 대통령은 당시 청사 외부를 전면 유리로 장식하거나 내부에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는 지자체까지 있음을 지적하면서, 2010~2012년 공공부문 에너지 사용량을 매년 3%씩 단계적으로 줄여나가겠다는 지경부의 보고에 “너무 약하다”고 질책했다고 한다. 행정안전부가 지난 6일 지자체를 포함한 공공기관 청사의 에너지 사용량을 연내에 10% 줄이겠다는 에너지 절감대책을 발표한 것도 이 대통령의 지적에 따른 후속 조치로 보인다.
행안부가 이날 발표한 에너지 절감대책 중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에너지 낭비가 심한 지자체 호화청사의 구조 개선과 공공기관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10% 절감이라 할 수 있다. 행안부는 우선 그동안 여론의 도마에 올랐던 성남시청과 용인시청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 진단을 벌인 뒤 낭비성 구조를 고칠 방침이다. 신축 청사의 경우 에너지효율 1등급 취득을 의무화하고 민간부문도 세제지원을 통해 자동차나 주택의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한편 호화청사로 지목됐던 관련 지자체들은 벌써부터 에너지 절약을 위한 다양한 대책들을 추진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한다.
대통령의 언급이 있은 다음에야 부랴부랴 에너지 대책 마련에 나서는 중앙행정부처나 지자체의 모습을 보는 국민의 마음은 착잡하기 그지없을 것이다. 이에 수반되는 경제적 대가 또한 만만찮을 것이 뻔하다. 앞으로 호화 지자체 청사의 경우 진단 결과 낭비성이라는 판단이 나오면 뜯어고치는 비용이 들 터인데 이는 이중의 혈세 낭비가 되는 셈이다.
또 현재 건립 중인 15개 지자체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려면 설계변경을 해야 하고 그만큼 건축비가 증가하게 될 것이니 이 같은 비효율이 어디에 있을까. 에너지 절약과 같은 구체적인 사항은 누가 말하기 전에 해당 기관들이 솔선해서 추진해야 할 사항인 것이다. 이 기회에 호화판 청사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깔끔하고 돈 적게 드는 아담한 청사를 짓는 기준을 마련해볼만 하다. 광교신도시에 새로 짓는 경기도청사도 호화판 청사를 예고하고 있다. 어떻게 비껴갈지 지켜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