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한 해 동안 우리나라는 때아닌 자전거 열풍에 휩싸였다. 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는 지난해 2월 전국 어디서나 자전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교통수단으로서 자전거의 역할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저탄소 녹색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2018년까지 1조2456억원을 투입, ‘전국 자전거 네트워크’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도 내놓았다.
지방자치단체들도 자전거도로 신설 등 자전거 관련 정책들을 경쟁하듯 쏟아냈다. 관내 출장을 갈 때는 청사 내에 비치해 놓은 자전거를 타고 업무를 보도록 했다. 경찰은 자전거를 타고 관내를 순찰하는 모습도 쉽게 목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어느 누구도 자전거를 타고 업무를 보거나 보려 하지도 않는다. 청사 내에 비치되어 있었던 자전거는 온데 간데 없어졌고 자전거 출퇴근을 하면 인센티브를 준다던 발표도 슬그머니 꼬리를 감춘지 오래다.
경기도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오는 2020년까지 총 1조472억원을 투입, 1천910㎞의 자전거 도로 신설 계획을 세웠다. 도는 우선 접경지역 자전거 도로를 비롯, 도내 곳곳을 연결하는 자전거 전용 도로망을 구축하겠다는 것이었다. 그후 도는 소요사업비를 어떻게 확보해 사업을 추진해 왔는지 알 수 없다. 마구잡이 사업계획을 발표했던 일선 시·군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때아닌 자전거 활성화 정책에 따라 자전거 인프라 구축없이 자전거 타는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자전거 관련 사고만 급증하고 있다. 자전거 이용을 늘리는 관건은 도심 자전거 전용도로 건설과 이용자의 안전 확보가 우선이다. 서울시 자전거 교통사고 통계를 보면, 2006년 266명이던 부상자가 2008년 807명으로 급증했다. 2008년 한 해 동안 도내에서 자전거 교통사고로 사망 36명을 포함해 모두 1천419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경찰청은 집계하고 있다.
이러한 실종된 자전거 정책속에서 안산시가 시민 75만명에게 자전거보험 혜택을 주기로 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시는 지난해 말 ‘안산시 자전거이용활성화에 관한 조례’를 개정했으며 올 추경에 관련 예산을 확보할 방침인데 자전거보험에 가입되면 사고, 후유장애, 진단위로금(4주 이상 진단시), 형사합의지원금 등으로 최고 2천900만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주말이면 도심 공원은 자전거 관련 크고 작은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자전거 출퇴근족들은 항상 사고의 위험속에서 목숨을 내놓고 달린다고 한다. 자전거를 타며 녹색성장을 실천하는 이들에게 안산시의 이러한 정책은 한줄기 빛과도 같다. 안산시의 자전거보험 혜택이 전국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