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만에 포천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연천에 이어 19일 충남 서산에서 구제역 의심 소가 신고돼 전국으로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구제역이 처음 발견된 것은 지난 7일 포천시 창수면의 한 젖소농장이었다. 방역당국은 부랴부랴 방역활동을 펼쳤지만, 19일 연천군 청산면의 한우 농장에서 구제역 확정 판정이 나왔다. 12일 만이다.
이 농장은 구제역이 최초로 발견된 창수면 농장과 9.4㎞ 떨어져 있지만 중간에 산이 가로 막고 있다는 이유로 경계지역(10㎞ 이내)에 포함되지 않았다. 그런데 구제역이 발생했다. 방역당국은 바이러스가 전파될만한 정황이 없었다고 말하지만 결과로서는 안일한 판단과 대처였다는 소리를 들어도 할말이 없게 됐다. 서산시 응암면 농가의 경우 양성이 아니기를 바라지만 만에 하나 기대밖의 결과가 나온다면 사태는 심각해질 수 있다. 19일 오전 현재 포천과 연천에서 살처분된 가축은 한우와 육우 223마리, 젖소 1천683마리, 돼지 1천200마리, 염소 45마리, 사슴 17마리 등 모두 3천168마리나 된다. 엄청난 경제 손실이 아닐 수 없다.
경기도는 구제역 피해 농가에 대한 보상과 방역 지원을 위해 특별대책을 마련했다. 우선 살처분 농가의 자녀 학자금 및 생계안정비를 지원하고, 이동 제한 지역내 가축의 수매를 통해 축산농가의 피해를 보상할 계획이다. 농장과 농가 소독약품 공급을 위해 국·도비 10억원 긴급 지원도 검토 중이라고 한다. 이번 구제역 사태의 최대 피해자는 양축농민들이다. 사료값이 오르고, 내수까지 침체한데다 한파까지 겹쳐 겨울나기를 걱정하면서도 눈 앞에 닥친 음력 설 특수에 한가닥 희망을 걸어 왔던 양축농민으로선 절망감에 빠질 수밖에 없다. 말 못하는 짐승이라고는 하지만 영문도 모르고 살처분 당한 가축도 억울하기는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러나 이미 엎질러진 물이다.
구제역 발생지와 인접한 파주시, 동두천시, 가평군 등지는 예찰과 함께 방역작업을 강화해야할 것이고, 여타 지역도 결코 방심해서는 안될 것이다. 한편 경기도는 구제역 피해농가에 대한 지원 및 보상을 조기에 집행해서 양축농가의 어려움을 덜어주어야할 것이다. 민간의 협력도 절실하다. 이동통제소가 곳곳에 설치 운영되면 통행과 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되겠지만 구제역 극복은 지역 및 국가 경제와도 관련이 있는 만큼 개인적 불편을 감수해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