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동시지방선거일은 오는 6월 2일이다. 꼭 120일 전인 2일부터 시·도지사 및 교육감 선거에 출마할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된다. 예비후보로 등록하려는 사람은 해당 시·도 선관위에 기탁금 1천만원, 전과기록, 학력증명서, 가족관계 증명서를 제출해야 하고, 이중 기탁금과 전과기록 서류를 갖추지 못하면 등록을 할 수 없다. 등록을 마친 예비후보자는 선거사무소와 간판, 현판, 현수막을 설치할 수 있고, 선거사무장을 포함한 5인 이내의 선거사무원을 둘 수 있다.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등록을 마친 후보자에 한해 선거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이제 본격적으로 지방선거 열풍이 불어닥칠 태세다. 후보등록 하루 전인 1일 민주당 김진표 최고위원이 경기지사 출마를 공식 선언하면서 이미 출마를 선언한 이종걸 교육과학기술위원장과의 경합이 예상된다. 심상정 진보신당 전대표도 도지사 선거전에 합류한 상태다. 선거일이 다가오면서 출마 후보군은 더욱 늘러날 것으로 치열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현역 국회의원이 시·도지사 및 교육감 예비후보로 등록하려면 현역의원의 경우 의원직을 사퇴해야 된다. 그러나 현역 국회의원들이 현직 프리미엄을 포기하고 일찌감치 선거전에 뛰어들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현역 단체장과 교육감은 사직할 필요는 없지만 예비후보 등록시점부터 선거일까지 부단체장, 부교육감이 권한을 대행하게 된다.
오는 19일부터는 광역·기초의원 및 기초단체장 선거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된다. 다만 군(郡)의원 및 군수선거 예비후보자 등록은 3월 21일부터다. 이번 지방선거는 2008년 총선 이후 2년 만에 치러지는 전국단위 선거이자 이명박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 차기대선 전초전의 성격을 띠고 있다. 특히 세종시 수정안 논란은 충청지역은 물론 수도권과 영·호남 등 전국 표심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돼 여야는 물론 한나라당 친이(친이명박)-친박(친박근혜)계는 향후 정국주도권을 놓고 치열한 승부를 펼칠 전망이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것은 각 지역 선거관리위원회다. 이번 지방선거는 모두 8번을 기표해야 하는 번거로운 투표과정이 기다리고 있는데다 정치 쟁점이 곳곳에 포진하고 있어 그 어느 선거보다 혼탁 선거전이 전개될 것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불법선거는 우리의 선거풍토를 후퇴시키는 비민주적 야만행위다. 후보자 스스로 공명선거를 치르겠다는 자세가 필요하고 유권자는 능력있고 깨끗한 후보자를 가려 뽑아야 겠다는 마음 가짐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