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구조·구급대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신뢰하는 조직인 동시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느끼는 공직자들이다. 2009년 말 기준으로 전국에 구조대 211개대 2천838명, 구급대 1천286개대 6천167명이 국민의 생명수호를 위해 24시간 근무하고 있다.
소방방재청은 지난 한 해 동안 전국 119구조활동을 분석한 결과, 총 36만1천483회 출동하여 25만7천766건의 구조활동으로 9만349명의 생명을 구조하고 16만7천417건의 안전조치를 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과 비교할 때 출동은 8만5천819회(31.1%), 구조 활동은 7만5천147건(41.1%), 구조인원은 5천790명(6.8%)이 각각 증가한 것이라고 한다. 한 해 동안에 출동건수가 31.1%나 증가한 것은 그만큼 국민들이 119구급대에 의지하고 있다는 얘기다. 또 119구조대는 하루 평균 990건의 구조출동, 248명을 구조해 지난해 국민 1만 명 당 18명이 119구조대의 도움을 받은 셈이다. 119구조대가 인명구조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구조 활동 가운데는 비긴급 생활민원형도 많다.
119구조대의 도움을 받아 본 사람들은 그들이 얼마나 성심성의를 다해 구조 요청자를 돕는지 알 것이다. 이번 아이티 지진 피해 구조 활동을 본 현지의 외국 구조대들도 몸을 아끼지 않는 한국 119구조대 활동에 최고의 평점을 줬다는 소식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긴급구호 요청을 받고 현장에 출동한 119구급대원들을 폭행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있어 심각한 우려를 자아내게 한다. 소방방재청에 따르면 구급대원 폭행은 지난해 66건을 포함해 2006년부터 4년간 241건에 달한다고 한다. 대부분 피해자는 남성(237명)이었지만 여성 대원도 무려 27명이나 구타를 당한 것으로 집계됐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해 8월 부천시의 가정집에서 자살을 시도하던 50대 남성에게 구급대원이 목을 졸린 사례는 충격적이다. 자신이나 가족을 도와주러 온 구급대원을 폭행하는 것은 비 상식적인 처사다.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구조·구호 활동마저도 방해하는, 공공의 이익을 해하는 커다란 범죄행위다.
정부는 서둘러 폭행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구급대원들이 폭행을 당하고 나서 가해자를 고소하는 수준의 대책은 약하다. 보다 엄중한 처벌규정을 마련해 구조·구급 전문인력 손실을 예방하고 대원들의 사기를 진작시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