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지방선거 예비후보자 등록이 지난 2일부터 시작됐으나 교육감과 교육위원의 선거방식은 국회에 계류중인 상태로 여·야간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현행대로라면 6·2지방선거에서 교육감 선거는 지방자치에 관한 법률에 따라 추첨식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교육과학기술부는 교육감 선거에 대해 정당추천제를 제안했다.
이번 선거에서 교육감 선거가 추첨식이냐, 정당추천제냐에 따라 선거결과가 판가름날 만큼 중요하다. 이 때문에 교육감과 교육위원 출마를 고려하는 이들이 정계에 물밑 접촉을 하고 있다는 후문이 파다하다.
이와함께 최근 경기도지사 출마 예비후보가 현 경기교육감의 지지요청 등의 모습을 보며 정계나 교육계, 너 나 할 것 없이 교육의 정치적 중립을 훼손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인지 교육감과 교육의원 출마후보의 하마평에서도 정당과의 관계에 대한 얘기가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만약 정당추천제로 선거가 치러지면 교육감 등 후보자들은 정당의 기호(국회의석수 다수당 순)를 부여받게 된다. 이로인해 교육감과 교육의원 출마 후보자들이 금뺏지를 가슴에 달기 위해 정당에 손내밀고 기웃거리는 이유다.
추첨제로 선거방식이 정해질 경우엔 특정번호를 뽑는 이가 유리하며, 유권자들마다 투표용지가 8장이 부여돼 정당 기호를 보고 권리를 행사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가운데 추첨제로 선거룰이 정해지면 교육감 후보로 자천타천되는 이들끼리 특정번호를 부여받는자를 추대할 가능성도 점쳐지는 등 선거방식을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특정 국회의원은 지방선거 예비후보로 등록하고 선거방식도 정해지지 않은 교육감에게 지지를 호소하는 웃지못할 상황 및 정당의 추천을 받기 위해 줄을 대는 교육감 유력 후보들의 후문 등은 아름답기보단 추하기까지 하다.
교육계 정치적 중립을 위해서라도 교육감 등의 선거방식에 대한 국회의 조속한 의결로 이 같은 불신을 종식시키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