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0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창룡문] 설날

이창식 주필

정월 초하룻날을 신원(新元), 원일(元日), 세수(歲首) 등으로 부른다. 옛 사람들은 일년 내내 복되고 편안하고 풍년이 들기를 바라 일월신이나 산천신에게 축원을 드렸다. 설날은 모든 것을 삼간다는 뜻에서 신일(愼日)이라고도 하였다. 우리 세시풍속은 정월에 집중되어 있다. 조상의 혼백을 모시는 차례(茶禮), 웃어른에게 올리는 세배와 덕담, 설날에 입는 설빔, 이웃 간에 나눠 먹는 세찬(歲饌), 사별한 어른들을 찾아 뵙는 성묘, 한 해 복이 깃들기를 바라 사는 복조리, 집안의 재앙을 막기 위한 삼재법, 하늘에 사는 귀신이 내려와 신발을 신어보고 맞는 것을 가져가면 1년 내에 죽는다고 하여 신발을 방안에 들여 놓는 야광귀(夜光鬼)가 있다. 초닷새날을 패일(敗日)이라하여 바깥나들이를 삼갔고, 초여드렛날은 곡일(穀日)이라하여 닭장과 소외양간을 쳐서 거름을 논밭에 뿌려 농사 준비를 했으며 열나흣날은 신풍(新豊)이라하여 아침 일찍 일어나 퇴비를 한 짐 지고 가서 자기 논에 넣었다. 이날 쌀·보리·조·콩·팥 등 다섯 가지 이상의 곡식을 섞어 만든 오곡밥에 지난해에 장만해 두었던 무고지·호박고지·외고지·가지나물·버섯·고사리 등 아홉 가지 나물을 먹었다. 또 이날 자기 나이와 같은 횟수를 오가며 일년 내내 다리 병이 나지 않고 튼튼하기를 바라 답교(踏橋) 즉 다리밟기를 하였고 부잣집에 몰래 들어가 뜰이나 마당의 흙을 파다 자기 집 부뚜막에 바르면 부자가 된다고 해서 복토 훔치기를 했다. 액년(厄年)이 든 것을 직성(直星)이라 하는데 11, 20, 29, 38, 47, 56세의 남자와 10, 19, 28, 37, 46, 55세의 여자들은 제웅을 만들어 거리나 개천에 버렸다. 이밖에 보름날 밤에 만드는 보름떡, 가신(家神)에게 제사하는 안택(安宅), 들쥐를 없앤다는 쥐불놀이, 농사가 잘 될지를 알아 보는 콩점, 보름날에는 이가 튼튼해지고 액을 막기 위한 부럼깨기, 귀 밝기를 위해 이명주(耳明酒)를 마시고 액막이 연을 띄웠으며 저녁에는 뒷동산에 올라 달맞이를 했다. 더위팔기와 나무 시집보내기 등도 곁들였다. 조상의 지혜가 담긴 세시풍속을 따라하는 것도 설의 재미가 될 성 싶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