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0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기자수첩] 축산 농가들 구제역 자체 방역 일상화하길

 

지난달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후 피해농가들은 자식같은 가축을 제 손으로 죽여야 하는 고통을 경험해야만 했다. 방역당국은 구제역이 이달 들어 추가발생이 없자 종식선언 초읽기에 들어갔다. 하지만 지난 21일 농림수산식품부는 구제역 종식선언을 한달 후로 늦추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구제역이 이례적으로 혹한기에 터진 데다 폭설이 잦아 구제역 발생 추이를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게 이유였다.

사실 정부의 이런 결정은 당연한 조치다. 지금까지 구제역은 날이 풀리고 황사가 나타나는 봄철에 주로 발생해왔기 때문에 종식선언을 한다 해도 마음을 놓기는 이른 시기였기 때문이다.

정부의 이번 발표로 이번 21일 종식선언만을 기대하고 있던 포천의 축산 농민들은 힘이 빠질 수밖에 없었다.

지난달 31일 경기도는 1~5차 구제역 위험(500m~3㎞)·경계(3~10㎞)지역 가축 수매를 소 20여 마리와 돼지 1천여 마리에 대해서만 허용하는 등 수매량을 대폭 줄였다. 하루하루를 두 손 놓고 있는 상황에서 수매량은 줄어들고 종식선언이 늦춰질수록 회복에 대한 부담감이 커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철저한 방역과 예방만이 피해를 줄이는 길이라는 점을 가장 잘 아는 농민들이기 때문에 정부의 이런 조치가 감사하기만 하다.

포천의 한 양돈 농가는 “처음에는 방역당국의 조치가 너무 심한 것 아닌가 어리둥절했다”며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확산이 줄고 피해대책을 마련해 마음을 놓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번 구제역 발생에 대해 처음에는 초동 방역에 실패했다는 언론 보도가 속출했지만 포천지역에서 확산을 멈추며 전국 확산으로까지 번지지 않아 천만다행이라 할 수 있다. 구제역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면 그 피해규모는 상상을 초월하게 된다.

구제역을 비롯한 조류인플루엔자나 돼지콜레라 등 가축 전염병은 5월 말까지가 고비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구제역이 추가발생이 없다 하더라도 방역의 강도를 낮추지 말아야 하며 축산농가들도 자체 방역을 일상화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