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0월 본격 착수할 동탄 2신도시 개발과 관련해 성원상떼빌 아파트(이하 성원아파트)의 이주대책 문제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주민간 마찰이 빚어지고 있는 가운데(2009년 11월 30일자 7면 보도), 최근 발표된 감정평가에 LH가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며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또한 이번 감정 결과 주변 시세보다 낮게 평가돼 주민들이 강력 반발하고 있다.
LH와 주민간 갈등은 24일 화성시 동탄면사무소 2층에서 제9차 주민간담회가 진행되며 더 증폭됐다. 최형근 부시장과 지역개소발장, LH 보상팀장, 단지 개발팀장, 성원아파트 주민 150여명이 참석한 이날 간담회에선 LH의 감정평가 개입 여부와 보상평가 시행 여부에 대해 논의됐다.
이날 주민들은 “최근 발표된 감정평가(470세대)는 주변 아파트 시세에 턱없이 부족하다”며 “이번 감정평가에서 LH측에서 개입한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성원아파트 주민 김모(55·여)씨는 “지난 17일 감정평가사와 통화에서 평가사가 LH 측에서 매매가격을 기준치로 삼으라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대답했다”며 “이것은 LH 측이 감정평가에 직접적으로 개입한 사실이 증빙된 결과”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LH 측은 “감정평가에 개입한 일은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
또 주민간담회에선 주변 시세에 못 미치는 평가결과에 대한 주민들의 불만이 쏟아졌다.
성원아파트 세대별 감정평가 결과에 의하면 이주세대(전세자) 152세대 중 113세대(75.3%)는 1억원, 39세대(24.7%)는 1억원 이하의 평가를 내렸다. 그러나 현재 부동산 업계에선 인근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가 2억1천만원으로 알려져 감정평가와 큰 차이를 보였다.
이에 주민들은 “전세자금으로 1억원이라는 금액책정으로는 동탄 주변에 있는 아파트는 꿈도 못 꾸는 금액”이라며 “주변 시세가에 맞는 보상비를 제시해야 한다”고 요구하며 반발했다. 또 “이주대책을 위한 감정평가가 아닌 실질적인 보상평가를 실시하라”고 주장했다.
LH 관계자는 “3월 5일까지 이의신청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의신청을 통해 불이익을 최소화하는 한편 공사에 따른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시키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시 관계자는 “주민들의 불편사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양 측간 중재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