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지방선거를 3개월 앞두고 예비후보 등록으로 지방의원 출마자들에 대한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지방의원의 경우 아직까지는 2대1의 경쟁률을 넘지 않아 많은 후보가 각 당 공천 움직임에 대한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이달 안에 대부분 후보가 예비후보 등록을 마치고 본격적인 선거 준비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난 2006년 지방선거때와는 달리 여당과 야당 후보들간에 미묘한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2006년 당시의 경우 수도권, 특히 경기지역의 경우 한나라당 바람을 따고 단체장은 물론 광역의원 대부분을 한나라당이 싹쓸이하다시피 한 바 있다. 반면 올해는 이같은 현상이 재연될 것으로 보는 사람들은 거의 없어 보인다.
이에 수성에 나서야 할 한나라당, 특히 지방의원들의 경우 좁아진 지방의원 관문으로 출마 여부에 대해 고심과 고심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나라당의 공천심사 일정을 앞두고 현직, 특히 여당 소속 지방의원들은 노심초사다.
민주당 등 야당의 거센 견제가 예상되는 올해 지방선거에서 당선 확률을 높이기 위해 도당은 어느때보다 경쟁력을 우선으로 후보자들에 대한 검증을 벌이고 있다.
이에 줄서기와 힘있는 배경을 앞세우더라도 공천을 받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여기에 도의원들의 경우 최소 40% 이상을 잠식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공천을 받더라도 당선에 대한 부담이 지난 선거 때와는 다르다.
김모 의원은 “지방선거 특성상 지방의원의 경우 인물간 대결이라기 보다는 외부적인 요인에 좌우되는 경우가 많아 그야말로 의원뱃지를 놓고 벌이는 도박과도 같다”고 말한다.
여기에 특별한 직업이 없이 정당활동과 의정활동에만 전념해 온 소위 ‘생계형 지방의원’의 경우에는 선거비용이라는 또 다른 부담도 있다.
이래저래 이번 선거는 여당 현직 지방의원들에게는 쉽지 않은 선거 분위기에다 높은 경쟁률로 고전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