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 2일 치러지는 지방선거는 한명의 유권자가 8장의 투표용지에 기표를 해야 한다. 유권자들은 투표소에서 1, 2차로 나눠 4장씩 투표를 하는 방식으로 개선책이 나오기는 했지만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다.
1명이 국회의원과 비례대표 후보 등 2장의 투표용지에 기표하는 국회의원 선거는 물론 6장에 기표한 2006년 지방선거 당시보다 투표용지가 많아지면서 무효표 증가나 유권자들의 혼란이 불을 보듯 뻔하다.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지역구 광역의원, 비례대표 광역의원, 지역구 기초의원, 비례대표 기초의원, 교육감, 교육의원을 선출하는 만큼 유권자 한 사람이 무려 8장의 투표용지를 받게 된다.
선관위는 지난달 25일 투표과정에서 혼선을 막기 위해 투표소를 방문한 유권자에게 두 차례에 걸쳐 4장씩 투표용지를 교부하는 지방선거 투표방식을 확정 발표했다. 선관위가 결정한 투표방식에 따르면 유권자는 교육감, 교육의원, 지역구 광역의원, 지역구 기초의원 투표를 먼저 한 뒤 2차로 4장의 투표용지를 더 받아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비례대표 광역의원, 비례대표 기초의원 투표를 마치면 된다.
그러나 투표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8장의 투표용지를 4장씩 두번에 걸쳐 배분하는 선에 그쳐 혼란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정치 무관심층이나 노년층들은 투표소에는 어떠한 물건의 반입도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대책마련이 없는 한 역대 선거보다 많은 무효표의 발생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더욱이 정당공천이 없이 치러지는 교육감, 교육의원 선거는 유권자들을 당황케 할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감, 교육의원 투표용지 상단에는 ‘정당과 관련이 없습니다’라는 문구가 들어간다. 또 정당, 기호 표시 없이 추첨으로 정한 순서에 따라 후보자의 성명만 위에서 아래 순으로 기재된다. 그러나 유권자들은 후보자 성명의 상하 배치를 여야 정당 순으로 오해하고 이른바 ‘줄투표’를 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정당공천이 없는 교육감, 교육의원 선거는 투표용지 크기, 후보자 성명 배치 방식 등을 획기적으로 달리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경기도선관위는 이같은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투표절차에 대한 대대적인 홍보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선관위 홈페이지에 투표절차 안내문을 게시하고 선고공보물 등에도 자세한 투표절차를 안내하는 유인물을 첨부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