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대교 버스추락 사고와 관련 교통사고 전문가들은 똑같은 상황이 재현되더라도 인명피해가 불가피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렇다면 이후에도 유사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는 교통사고의 위험지역에 대해 왜 사전 안전점검이 이뤄지지 못했는지를 두고 의문이 제기된다.
사고당시 2차선에 그대로 방치돼 있었던 마티즈 차량를 고속도로 CCTV가 감지하고 신속히 갓길로 이동시키지 못한 것이 결국 대형 인명피해를 가져왔다.
도로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인천시 교통 관계당국도 이러한 문제를 파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송영길 인천시장은 3일 저녁 인하대병원을 찾아 “사고현장에 CCTV가 있었는지, 있었다면 당시 마티즈 차량의 고장을 확인, 신속히 한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었는지 등을 따져 제2의 유사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시스템을 점검 하겠다”고 밝혔다.
사고 당시 문제의 마티즈 운전자 K(46·여)씨는 “차량계기판 등에 이상이 생겨 2차선에 차를 세우고 갓길이동해 보험회사에 전화해 사고 처리를 요청했다”고 진술했다.
당시 편도 3차로 중 2차로를 달리던 1t 화물트럭이 미쳐 마티즈 승용차를 발견하지 못해 추돌사고를 냈고 이어 달려오던 사고버스는 이들 차량들을 피하려 핸들을 급히 우측으로 꺾다 이 같은 참사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처럼 평소 이 도로 구간은 추돌 사고의 위험을 도사렸던 곳으로 경찰은 고속버스 운전기사가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경찰은 “마티즈가 톨게이트를 빠져나간 시각이 차량고장 사고 시각과 별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며 “차가 고속도로에 오래 방치되진 않은 만큼 마티즈 운전자 K씨를 상대로 과실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현장 가드레일(높이 83cm)이 기존 가드레일 보다 높이가 낮아 제 역할을 못해충격 후 차량이 10여m 아래 아파트 공사현장으로 추락한 것이라는 의혹도 일고 있다.
또 안전벨트 미착용드이 더 큰 인명피해를 가져왔다는 지적과, 흐린고 안개가 짙은 이날 유도등과 달리는 차량의 속도를 줄일 만한 안전조치가 미흡했다는 지적도 있어 사고와 관련해 논란이 일 것으로 보여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