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치매치료를 위한 치료비 지원과 경증치매환자 관리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고 7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이달 현재 인천시의 치매환자는 약 1만9천여명으로 추산되며, 이중 경도 인지장애와 경증치매환자는 68%에 이르고 1인당 연간 의료비는 617만 여원으로 나타났다.
치매는 이처럼 가정에 적지 않은 부담을 주고 있어 초기에 치료와 예방활동을 병행해야 증상을 호전시키거나 중증화를 지연시킬 수 있다.
이에 시는 지난 4월부터 시행하고 있는 치매치료관리비 지원대상을 확대해 보다 많은 치매노인에게 치매치료비를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시는 60세 이상 전국 가구 평균 소득 50% 이하 노인에게만 지원했던 치료관리비를 7월부터 기초노령연금 수급자로 치매치료를 받는 노인, 60세 미만의 초기 치매환자, 치매척도검사(CDR) 1점 이하, 전반적 퇴화척도(GDS) 5단계 이하의 경증 치매환자에게도 지원하고 있다.
시는 또 경증치매환자의 중증화를 방지하기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협약을 체결해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등급외 치매노인에 대해서도 인지기능 증진 프로그램 참여를 유도하고 정기검진 및 모니터링 등의 관리를 지속적으로 해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한 대상자에게 월 3만원 이내의 치료비와 진단서 발급비용 1만5천원을 별도로 지급할 계획으로 지원을 원하는 노인은 거주지 보건소에 지원신청서를 제출하면 지원받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