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안녕하세요 올해 27살 사회 초년생입니다. 결혼은 30~32세쯤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결혼자금 마련은 우선 6천만원이 목표입니다. 현재 월 수입은 세후 155만원에 7~20만원 정도의 부수입(시험감독비)이 있습니다. 매월 교통비 등 18만원, 통신비와 용돈 7만원, 부모님 생활비 40만원, 적금 10만원을 불입중이며 1천만원짜리 적금이 하나 있습니다. 부수입의 경우 일정치가 않아 일정금액 이상을 모은 뒤 장기예금으로 전환할 예정입니다. 매월 80만원 정도의 여유자금이 생기는데 이중 50만원은 1년 단위 적금에 불입하고, 나머지 30만원은 10만원씩 적립식 펀드에 넣을 생각입니다.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짜야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주식형펀드 분산투자 목표금액 달성
A. 현재 지출 수준은 39%로 양호한 편이지만 아직 저축이 시작되지 않은 단계라 저축부분의 비율이 많이 부족한 수준입니다. 1천만원의 예금이 있다고 했는데 그 부분을 결혼자금에 포함해서 답변드리겠습니다. 여유자금은 약 90만원 정도입니다.
◇ 1단계 위험관리
저축이나 투자를 하기 전에 기본적으로 반드시 준비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비상자금과 보장성보험입니다. 비상자금은 의도하지 않은 지출이 발생했을 경우를 대비하는 것입니다. 보장성보험은 갑작스런 질병이나 상해로부터 가정경제를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비상자금은 월 소득의 3배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좋고, 한번에 모으기 힘들기 때문에 매월 일정금액씩 비상자금 통장에 넣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보장성보험은 월소득의 6~10% 이내에서 전략적으로 수립해 최소비용으로 최대의 보장을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혹시 집에서 마련해준 보장성 보험이 있으다면 보험증권분석을 통해 보장에 대해 한번 점검 받아보길 바랍니다. 없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이 보장성 보험 준비입니다.
비상자금은 불확정 소득인 시험감독비를 그대로 활용하면 됩니다. 일단 현재 사용하는 통장이나 CMA를 활용해 시험감독비로 들어오는 소득은 그대로 모아 놓길 바랍니다. 차후 목돈이 되면 예금으로 돌린다 했는데 비상자금은 어딘가에 묶여 있으면 안되는 돈이므로 언제든지 찾을 수 있는 통장에 넣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 2단계 재무목표 설정
보통 목표없이 단순 저축 또는 투자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게 되면 그 돈은 수중에 쌓이는 것이 아니라 자신도 모르는 지출에 쓰이기 위해 잠시 거쳐가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생에서 큰 자금이 꼭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결혼, 주택마련, 자녀교육, 노후자금 등 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목적으로 큰 돈을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돈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 시기가 닥치면 빚을 내거나 투자해 놓은 집 또는 투자자금 등을 팔거나 해지해서 자금을 마련해야 합니다. 저축이나 투자를 할때는 그것을 어디에 쓰기 위해 하는 것인지 목표를 부여하고 금액과 기간을 설정해 준비해 나가야 합니다.
포트폴리오 구성을 위해서는 재무목표, 목표기간, 목표자금이 계획돼야 가능합니다. 현재 결혼자금을 목표로 하는 것 외에는 특별한 목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현재 상황을 비추어 볼때 노후자금도 추가적으로 준비해 나가는 것이 저렴한 금액으로 높은 연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3단계 포트폴리오 구성
은행 예금 1천만원을 결혼자금에 포함시 필요자금은 5천만원이 됩니다. 우선 비상자금은 시험감독비를 적립해 모아나가면 되고, 나머지는 결혼자금 마련으로 포커스를 맞췄습니다. 다만 준비기간이 3년이라면 5천만원을 모으기에는 너무 짧은 기간이므로 32살을 기준으로 설정했습니다.
5년은 펀드로 투자하기에 적합한 기간입니다. 현재 가입돼 있는 예금과 적금을 모두 해지하고 적립식 펀드로 돌리는 것이 결혼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투자 방법입니다. 그리고 현재는 단기적인 목표가 없으나 차후 단기 목적자금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일단 예금과 적금은 그대로 유지하길 바랍니다.
나머지 금액은 주식형 펀드에 분산투자 하고, 최소의 금액으로 노후 준비를 해나가길 바랍니다. 차후 여유자금이 추가 발생하면 추가납입을 통해 연금 적립액을 늘리길 바랍니다. <자료제공 : 재테크 포탈 No1. 모네타 (http://www.moneta.co.kr), 상담방법 : 모네타 → 재테크칼럼/상담 → 재테크상담 → 종합상담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