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기도내 시·군의 문화예술 시설들이 재정 만성적자로 시비대상이 되고 있는 모양이다. 경기도에서 운영하는 경기도문화의전당을 비롯, 도내 각 시·군 문예회관이나 시민회관 등 문화예술 시설 44곳의 대부분이 만성적인 적자 운영으로 인해 지자체 재정에 부담이 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경기도가 건립한 경기도문화의전당의 경우 올해 운영비가 105억원인데 예상되는 수입은 39억원 밖에 안돼 66억원 정도의 적자상태라는 것이다.
본보(23일자 2면) 보도에 따르면 경기도 문화의전당 외에도 군포문예회관이나 오산종합문예회관, 안산문화예술의 전당 등이 연간 수억원부터 수십억원까지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지자체들은 별다른 대책 마련 없이 문예시설을 계속 확장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현재 도내 31개 시군마다 1~3개의 문예시설이 이미 건립돼 있지만 광주·김포·구리·연천·의왕 등 5개 시·군이 147억~425억원을 들여 문예시설을 추가로 건립 중이다. 문예시설 증가에 대한 비판 중 가장 자주 거론되는 부분은 앞에서 지적한 것처럼 적자가 심해 지방 재정 상황을 위협한다는 것과 ‘단체장 치적 쌓기’라는 것이다.
그러나 문예시설을 수익적인 측면에서만 봐서는 곤란하다. 일본의 경우 마을마다 작은 규모일지라도 공연·전시 기능을 갖춘 회관이나 작은 규모의 박물관 등 문화시설이 있다. 이들 시설이 해당 자치단체나 주민들이 만들고 관리해나간다. 수익을 목적으로 한 시설이 아니기 때문이다. 수익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시설들은 당연히 일정 부분의 예산이 필요하다. 특히 문예시설은 소외지역일수록 지역민들의 문화체험 기회를 늘리고 주민들의 문화예술 향유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더욱 필요하다.
하지만 재정 문제가 크게 부담이 된다면 적자폭을 줄이는 방법을 고심해 볼 필요는 있다. 이와 함께 기존의 운영방식도 재검토해야 한다. 건물만 크게 지어놓고 문화서비스와 편의시설이 태부족, 시민들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공직자나 단체장과 친분이 있는 인사들보다는 문화예술 전문가들로 운영진을 구성하고 홍보와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마케팅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지역 주민들과 함께하는 문예회관 프로그램 이벤트를 기획하고, 효율적인 가동률 증대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 특히 지역 문화예술자원을 이용한 지속성장 가능한 문예회관 대표 프로그램을 기획·개발해 나간다면 지역 주민들로부터 사랑받는 ‘필수시설’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