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가 2분기에도 괜찮은 성적을 거뒀다.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1분기 8.1%에 이어 2분기에도 7.2%의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상반기 경제성장률은 7.6%로 한국은행의 수정 전망치 7.4%를 웃돌았다. 이는 2000년 상반기 10.8%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경제성장률이 높은 수준을 유지한 것은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증가세를 지속한데다 설비투자와 수출이 호조를 보였기 때문이라고 한은은 밝혔다.
하지만 서민경제로 눈을 돌려보면 답답하다. 화려한 지표경기에도 서민들의 체감 경기는 여전히 차갑다. 경제 성장의 과실이 대기업과 수출기업에 집중되고 중소기업과 서민층은 소외돼 있기 때문이다. 대기업 등 아랫목에서 시작된 온기가 중소기업과 서민 등 윗목으로 퍼지려면 시간이 걸린다고 하지만 양극화가 구조적 문제로 고착화되지 않을까 걱정이다.
일단 중산층이 무너지고 있음은 통계상으로 확인된다. 가처분소득 기준으로 상류층은 1996년 20.3%에서 2009년 24.1%로 3.8%포인트, 빈곤층은 같은 기간 11.3%에서 19.2%로 7.9%포인트 증가했다. 중산층이 감소하며 결국 우리 사회가 소수의 승자와 다수의 패자로 양분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서민들을 괴롭히는 또 하나는 생활물가다. 소비자 물가는 2%대로 안정돼 있다고 하지만 채소 등 장바구니 물가는 천정부지로 뛰고 있다. 연탄 가격과 전기, 가스, 교통 등 서민생활과 밀접한 공공요금도 언제 오를지 모르는 상황이다. 소득은 줄고 빚은 늘어나는 상황에서 고금리와 고물가까지 겹치면 서민들의 신음소리가 커질 수 밖에 없다.
우리나라 중산층이 하류층으로 추락하는 것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청년실업 문제다. 우리나라의 미래라고 불리는 청년들 가운데 100만명 이상이 학원을 다니며 일자리를 찾고 있거나 구직을 포기한 실업자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청년실업률(15~29세)은 8.3%로 전체 실업률(3.5%)의 두 배가 넘었다. 2009년 4년제 대학 졸업자 3명 가운데 2명이 미취업 상태라는 통계도 나왔다. 대학을 졸업하는 학생들 3명 가운데 2명이 백수가 되고 있다는 얘기다.
따라서 정부는 직접적인 일자리 제공보다 인프라 구축이나 인력양성 등 간접적인 지원에 치중한다는 계획 아래 현재 범정부 차원의 청년고용종합대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하루빨리 경기회복이 서민생활 안정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