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가 인사 문제로 진통을 겪고 있는 것을 보고 있노라면 자치시대의 암적 요소들이 점철돼 있는 듯 하다. 지난 6.2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최대호 시장이 규정을 제대로 지키지 않은 채 인사를 단행한 것이 발단이 됐다. 인사 과정에 전국공무원노조의 입김이 들어갔다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사태가 확산되자 행정안전부가 지난 3일부터 감사를 벌이고 있으나 파행인사의 핵심인 최대호 안양시장은 휴가를 즐기고 있다.
최 시장은 지난달 1일 취임 이후 기자간담회와 의회업무보고 등을 통해 오는 9월께 조직개편을 하면서 인사도 실시하겠다고 밝혀왔다고 한다. 그런 상황에서 지난달 27일 5급 12명과 6급 11명에 대한 인사를 전격 단행했다. 인사 내용 중 특히 주목을 끌었던 것은 전공노 징계업무를 담당했던 감사실장과 조사팀장이 좌천되고 오모 과장은 대기발령을 받았다.
이번 인사는 지방공무원인사관리규정을 무시한채 전보 6개월밖에 안된 사무관이 타부서로 발령났다. 인사위원회도 열리지 않았다고 한다. 이에 인사위원장인 이재동 부시장은 시청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노조의 불법 행위를 관리하고 조직의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한 간부들을 모두 좌천시킨 것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처사”라며 공무원노조의 개입의혹을 제기했다. 새로운 출발에 잔뜩 기대를 가졌던 시민들로서는 첫 인사부터 벌어진 이러한 사태에 대해 크게 실망했을 것이다.
최 시장은 지난 지방선거 때 민주당 후보로 안양시장 선거에 출마해 당선됐다. 당시 야 4당의 지지를 받아 무소속으로 출마했던 손영태 전 전공노위원장은 최 후보를 지지하며 자신은 중도 사퇴했다. 실제로 손 전 위원장은 최 시장의 당선자 시절 인수위원회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이번 인사에서 전공노 징계 업무 담당자들을 좌천시키거나 대기발령낸 것은 바로 이러한 전후사정과 무관치 않다는 추측이 제기되면서 선거당시 나돌던 살생부가 현실로 나타나는 것 아니냐는 얘기까지 나온다고 한다.
행안부의 감사결과가 주목되는 것은 지방선거에 따른 인사파행을 어느정도 제어하고 징계할 수 있느냐 하는데 있다. 윗선에서 시키는 대로 인사안을 짠 하급직 공무원만 잡는 감사로는 잘못된 인사를 바로잡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공직인사에 대한 기본적인 규정도 인식하지 못한채 단행해 일파만파 파행을 빚고 있는데도 경과 설명은 커녕 휴가를 즐기고 있다니 이해하지 못할 일이다. 지방자치가 이래서야 되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