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지역축제 존폐 결정 신중해야

지난 6.2지방선거 후 새로 선출된 도내의 시장과 군수들이 기존의 축제들을 폐지하거나 축소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자체들이 이처럼 축제의 존폐를 고민하게 된 까닭은 과거 지자체장들의 방만한 경영으로 인한 재정부족이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지방자치단체 재정이 파탄 위기라는 언론 보도가 잇따르면서 신임 단체장들은 지역 축제에 대한 구조조정에 들어간 것이다. 수부도시인 수원시의 경우 ‘성안축제’를 올해 대폭 축소하기로 했으며 매년 가을 39개 동주민센터가 개최하던 ‘마을음악회’의 개최 여부를 동사무소마다 자율적으로 결정하라고 통보했다는 소식이다.

안양시도 ‘안양시민축제’의 전야제와 공연행사를 없애고, 이달 열릴 예정이었던 ‘관악페스티벌’을 취소하기로 했으며 오산시 역시 ‘생태환경축제’를 올해 폐지키로 했고, 광명시는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개최한 ‘광명음악축제’의 폐지를 검토 중이라고 한다. 축제를 축소 폐지하는 대신 그 예산을 복지나 일자리 창출 등 주민에게 필요한 사업에 사용하겠다고 밝힌다. 우리는 취소되거나 축소되는 축제들이 주민들로부터 얼마만큼의 호응을 받고 있는지 모른다. 각 지자체의 판단대로 예산만 낭비하는 불필요한 축제라면 당연히 폐지해야 한다.

또 선거를 의식한 선심성 축제나 정치적인 논리에 의해 만들어진 축제도 재고할 필요가 분명히 있다. 특히 다른 지역과 차별화가 되지 않거나 지역의 전통과 문화 등 특성을 살리지 못하는 축제는 제재를 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축제들은 아직은 초보단계에 머물러 있다. 몇 백 년 역사를 자랑하는 세계적인 축제들과 비교하는 것은 무리다. 그럼에도 최근 들어 각 지자체들이 그 지역 고유의 특색 있는 축제들을 기획하고 사업화해 지역을 대표하는 또 다른 하나의 수단으로 제 몫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대표적인 것이 함평 나비축제, 금산 인삼축제, 보령머드 축제 등이며 경기도 내에서도 가평국제재즈페스티벌, 자라섬 씽씽겨울바람 축제, 파주장단 콩축제 등이 성공적인 축제로 정착되고 있다. 그런데 축제를 너무 경제적인 측면에서만 평가하면 안 된다. 돈까지 벌어줘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는 축제라면 두말할 나위 없이 좋을 것이다. 하지만 축제에는 팍팍한 세상을 살고 있는 서민들의 숨통을 틔워 주는 기능이 있다. 물론 전기한 것처럼 불필요한 축제는 과감히 없애야 한다. 다만 어떤 축제가 폐지되고 어떤 축제가 유지돼야 하는지에 대한 주민들의 의견과 전문가들의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