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통은 인구의 80%가량은 한번쯤 겪게 되는 고통이다.
요통의 많은 원인은 디스크질환으로 발생되는데, 증상으로는 허리만 아픈 경우와 골반 및 다리로 통증이 이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병원에서 진찰 후 디스크 질환이 발생됐다고 진단을 받게 되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받게 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을 한번쯤 겪게 된다.
더군다나 통증이 심한 경우 환자 스스로가 수술적 치료로 갈 수 밖에 없겠다는 막연한 생각까지 가지는 경우가 흔하다. 본인이 아프건 주변가족이나 지인들이 아프건 비슷한 경험들이 한번 씩 있었을 것이다.
이 때 수술적 치료가 꼭 필요한지 올바르게 판단하려면 디스크질환의 수술적 목적부터 살펴봐야겠다.
디스크수술의 목적은 통증개선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있다.
즉 수술적 치료를 하지 않는다고 암수술이나 출혈수술같이 사망으로 가거나 하지는 않고 통증개선을 위한 수술이기에 통증만 개선될 수 있다면 꼭 수술적 치료가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수술적 치료가 요구되는 척추·디스크질환은 5%이내이며, 대개의 디스크 질환은 비수술적 치료로 치료가 가능하다. 디스크 질환이 있는 경우 디스크 자체의 문제만 있기 보다는 주변근육의 발달이 안 돼 디스크로만 무리가 자꾸 가는 문제, 골다공증문제, 인대나 뼈가 틀어진 경우, 측만증, 전만증 등 동반되어 해결해야 될 문제들이 여러 가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디스크질환 자체만 수술한다고 해도 주변문제가 같이 해결이 안되기 때문에 수술을 해도 자꾸 재발되고 수술 후에도 증상의 호전이 잘 안될 수 있다는 게 비수술적 척추치료가 더 우선돼야 되는 이유이다.
즉 척추디스크질환이 발생된 원인에 대한 분석을 잘해서 본인이 평상시에 자세관리나 운동방법 등이 잘못됐던 부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이에 대한 개선 쪽으로 꾸준히 노력하는 치료가 척추디스크 치료에서 제일 중요한 부분이다.
수술적 치료가 꼭 필요해서 수술적 치료를 받았다고 하더라고 올바른 자세관리 및 운동관리 등이 안 될 경우에는 당연히 재발율은 올라가고 통증이 다시 발생되어 재수술을 받는 경우도 흔하게 볼 수 있다.
통증이 개선된다고 해서 완치되는 것은 아니기에 엄밀히 얘기한다면 수술적 치료를 하던 비수술적 치료를 하던 간에 꾸준한 척추에 대한 관심과 관리가 제일 중요한 부분이라고 얘기할 수 있다.
물론 수술적 치료가 꼭 필요한 경우도 있다.
신경이 많이 눌린 경우에는 대부분 수술적 치료가 꼭 필요한데 이런 경우가 아주 많지는 않다.
신경이 많이 눌렸는데 무조건 비수술적 치료를 고집하는 것도 올바른 판단이 아니다.
따라서 척추디스크 질환치료에 있어서 올바른 진단과 판단이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가급적 꼭 수술할 정도의 신경압박이 심한 디스크질환이 아니라면 총체적인 척추치료(뼈, 근육, 인대, 골밀도 등)쪽으로 방향을 잡고 비수술적 치료로 허리 보존 및 강화 쪽에 방향을 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인이 병원에서 배운 자세관리 및 운동관리 요령을 꾸준히 계속 일상생활에서 실천하고자 하는 노력과 정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나은병원 신경외과에서는 비수술적 치료와 미세침습적 수술적 치료를 같이 치료하고 있는데, 비수술적 치료를 우선시 하고 있으며 될 수 있는 한 허리는 수술적 치료가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보존 및 강화 쪽으로 치료받도록 방향을 설정하고 치료 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