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가 무단으로 점거해 4주째 계속되고 있는 여주 이포보 고공농성을 바라보는 지역주민들은 요즘 심기가 매우 불편하다.
4대강 살리기 사업의 하나로 진행 중인 이포보 공사가 외지사람들에 의해 볼모로 잡혔기 때문이다. 도대체 지역주민들의 정서는 아랑곳없이 남의 지역에 와서 저 야단을 떠는지 모르겠다는 것이 지역민들의 반응이다.
인근 대신면 주민들은 “지역 정서를 너무 모르고 주말만 되면 몇 백 명씩 와서 집회를 하는데 이런 모습을 보고만 있기에도 안타깝고, 우리를 이해 못해 화가 난다”며 불쾌한 속내를 드러냈다.
대부분의 주민들이 농업에 종사하는 지역의 특성상 이포보 준설은 꼭 필요한 사업인데도 최근 찬성하는 주민과 반대하는 환경단체 간의 마찰이 잦아지면서, 마을 주민들의 뜻을 다르게 바라보는 외부의 시선 또한 야속하기만 하다.
이런 가운데 지난 14일엔 여주군 이장단과 여주군 의회에서 나와 ‘4대강 사업 찬성지지 결의대회’를 열고 여주군의 여론을 무시하고 정치적인 의도 등으로 진행하는 4대강 사업 반대운동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같은 날 인근 장승공원에선 환경운동연합 주최로 4대강 사업을 반대하는 촛불집회가 열렸다.
홍수조절을 위해서 꼭 필요한 사업이라고 지역주민들은 환영하는데 아직 검증되지도 않은 환경파괴를 이유로 사업을 저지하려는 딱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물론 환경의 소중함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가 않다. 하지만 환경을 볼모로 이에 대한 정확한 명분도 없이 남의 지역에 와서 주민들의 정서와 동떨어진 농성을 벌인데서야 말이 안된다.
여지없이 촛불을 들고 나타나 4대강 사업을 반대하는 구호를 외치는 것도 왠지 옹색하기만 하다. 기왕에 할거면 왜 이포보 준설이 부당한지 근거를 대고 주민들을 설득했어야 옳다.
자발적으로 찬성의 뜻을 나타낸 주민들까지도 마치 이를 조종하는 배후가 있는 것처럼 왜곡해서는 곤란하다. 더욱이 그토록 완강하던 야권의 광역자치단체장들조차 지역의 여론에 밀려 합리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는 시점에 이러한 집회나 농성은 단지 ‘반대를 위한 반대’일 뿐이다.
따라서 주민들을 설득시킬 자신이 없으면 농성을 멈추고 돌아가야 옳다. 그래야 환경운동이 힘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