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칼럼] 더불어 사는 사회, 타인과 관계 원만하게 유지해야

 

우리가 사는 사회는 다양한 구성원의 커다란 공동체로서, 각양의 다른 사람들이 조화를 이루고 살아갈 수 있는 것은 나름대로의 원칙과 질서가 지켜지기에 가능한 것이다.

그런데 갈등의 새로운 틀을 형성하고 집단 간, 개인 간의 문제를 발생하게 하는 원인은 자기 현실에 대해 만족하지 못 하거나 자신의 가치와 어떤 사명감을 갖지 못해 언제나 자기는 억울한 위치에 놓여있다고 생각하게 되는 사람들이 늘어가는 것이라 하겠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수록 누구나 “나는 어떻게 할 것 인가” 라는 자기 물음과 더불어 자신의 잠재된 심정이 외부로 표출되게 된다.

이는 자신스스로에게 어떤 결론적이고 긍극적인 답을 초조하게 재촉하고 있다는 증거다. 그렇다고 아무 결단이나 빨리 내려서 ‘무엇이 되든 나는 모르겠다’는 식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사람마다 각각 다르게 처해있는 이 현실 속에 자기 자신으로서의 가장 올바른 결심과 행동을 결행 할 수 있느냐를 찾게 되고 ‘나는 어떻게 할 것 인가’라는 질문이 자기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는지 알게 된다.

이럴때 우리는 현실을 무시 할 수 없지만 그 현실을 창조적으로 변환 할 수 있는 의미의 세계를 가져야 한다. 반드시 영원한 진리가 아니라도 좋다.

현실 이상의 높은 차원의 가치관 세계를 갖고 그 현실에 도전할 때 우리는 그 현실이 아무리 역경이라 할지라도, 그 역경의 삶이 그가 갖고 있는 가치의 세계와 직결됨으로 인해 오히려 어렵고 힘든 현실을 버팀목으로 여기며 보람 있게 일을 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우리는 살아가면서 자신의 품격을 지켜야 할 필요가 있다.

품격을 지키려면 최소한 자기 존재 가치와 더불어 진실을 잃지 말아야 할 것이다. 우리는 타인을 속이려 할 때 먼저 자기 자신을 속여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정직하지 않고 거짓된 것이 나쁘다는 것은 모두가 잘 알고 있다.

거짓된 것은 자신과 상대방을 함께 파멸로 인도하는 근원적인 악에 속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내가 진실하지 못하다는 것은 속임수로 남을 대하는 것이기 때문에 남도 나를 믿지 않게 된다.

아울러 내가 상대에게 진실하지 않고는 상대에게 진실을 구할 수 없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우리는 양치기 소년의 교훈을 잘 알고 있다.

이와 조금 다른 의미일 수 있지만 자신에게는 관대하고 허용하는 사람이 상대에게는 엄격한 잣대를 요구하고 인정 하지 않으려는 것도 스스로에게 정직하지 않은 거짓의 한 단면 일 수 있을 것이다. 이사회는 혼자만의 사회는 아니다.

더불어 살아가야 할 사회라면 타인과의 관계를 원만히 잘 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인간관계가 순조로울 수 있으려면 서로 결합하려는 요소가 서로 이반하려는 요소보다 강하게 상호관계에 작용해야 한다.

이와는 반대로 세대 간의 반목이 조장되고 집단 간의 상극이 심화되는 분위기가 조성될 때는 그 사회는 완전히 무질서와 혼돈의 질곡으로 떨어지고 말 것이다.

자신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면 그 만큼 남도 중요하다는 것 역시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 현대 시민 사회의 윤리이다.

인간관계에서 상대방을 믿지 못한다면 자기불만의 반영이며, 연소자가 연장자를 대접할 줄 모르는 것은 자기 존재의 역사성마저 깨닫지 못하게 하고 있는 비참한 사회 환경의 현상화로 해석 할 수 있는 것이다.

세상을 살아가면서 인간된 도리 가운데 새겨야 할 것이 많지만 그중에 근면과 정직, 아울러 겸손이 인간된 도리의 근본이라 말할 수 있다.

성 어거스틴은 그의 덕목에서 제1은 겸손이요 제2, 제3도 겸손이라고 말한 것을 기억한다. 결국 모든 것의 귀착점은 인간문제이다.

열매가 굵고 실한 곡식은 머리를 숙이고 쓸데없는 잡초가 뻣뻣하게 서듯이, 올바른 인격자는 겸손하고, 부족하고 실속 없는 사람이 교만하다는 결론을 얻게 된다.

우리 모두는 소크라테스의 “내가 이 세상에서 현명한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은 다른 사람들은 자기가 무지하면서도 그 무지함을 모르고 저만 알고 있다는 착각을 하고 있는 데 나만은 무지하다는 것을 바르게 알기 때문 이다”라는 가르침을 가슴속에 새기는 가을이 됐으면 싶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