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2014년도 수능개편안은 적절한가

지난달 정부는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을 발표했다. 이번 개편안은 수능 시험을 11월에 15일 간격으로 두 번 치르고, 국어와 수학, 영어는 난이도가 기존 수능과 비교해 쉬운 A형과 비슷한 B형으로 나누어 보며, 사회와 과학 응시과목 수를 대폭 축소하는 게 골자다.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대입선진화연구회는 수험생의 과도한 시험부담을 완화해 사교육비 경감을 도모하는 것이 수능개편안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이번 개편안이 공교육을 왜곡하고 사교육을 확대시킬 것이라며 반대입장을 내놓았다. 안양옥 교총회장은 “고교 교육 정상화 및 사교육비 경감에 기여하기 어렵다”며 “사회탐구 시험과목을 축소함으로써 국·영·수에 몰입돼 전인교육도 어려워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교총의 입장표명은 현재 중학교 3학년생이 치르게 될 수능시험의 개편안이 발표된 후 곽노현 서울시교육감 등 진보성향의 교육감들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도 “국·영·수 중심의 입시수업을 강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미 심각한 우려를 밝힌 바 있다. 보수성향으로 최대 교원단체인 교총까지 반대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수능개편안을 다시 논의해야 한다는 여론이 교육계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교총이 소속교사 47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국·영·수를 나눠보는 것에 대해 74%가 대학에서 높은 수준의 시험을 요구하기 때문에 실효성이 없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사회·과학탐구에서 최대 1과목만 응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81.1%가 ‘교육과정 파행 우려 및 다양한 교과훼손’ 등의 이유로 반대했고, 수능을 15일 간격으로 2회 실시하는 방안에 대해선 66.9%가 학생들의 심적 부담과 행·재정 비용낭비, 두차례의 시험개발 및 난이도 조절상의 어려움을 들어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년 만에 대수술이 이뤄진다는 수능개편안에 대해 이처럼 교원단체들이 일제히 반대입장을 밝힘에 따라 실제로 교육수요자인 학부모와 학생들은 어떠한 입장을 가지고 있는지 조사할 필요성이 커졌다. 수능 시험을 두 차례 볼 수 있게 하는 것은 질병이나 사고, 실수로 시험을 망친 수험생에게 만회할 기회를 준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측면이 있다.

오는 10월로 예정된 최종안 발표시기를 늦추더라도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듬기 작업에 정성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제대로 된 개편안을 내놓길 기대한다.








COVER STORY